​靑, 北 영변 핵시설 재가동 징후에 “대북 관여 시급하단 방증”

  • 비판 대신 유화 기조 유지…“한미 일치된 인식 바탕으로 대화 모색”

북한 영변의 핵시설 단지 모습을 지난 27일 위성으로 촬영한 사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이날 발간한 북핵 관련 9월 연례 이사회 보고서에서 영변 핵시설 내 5MW(메가와트) 원자로와 관련해 "2021년 7월 초부터 냉각수 방출을 포함해 원자로 가동과 일치하는 정황들이 있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청와대가 31일 북한 평안북도 영변 핵시설 재가동 징후와 관련해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가 지속되는 상황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한 대북 관여가 시급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고 밝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에 “한·미 간에는 현재 상황에 대한 일치된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과 대화를 적극 모색해나가고 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영변 핵시설 동향 관련해 “우리 정부가 긴밀한 한미 공조 하에 북한 핵미사일 활동을 지속적으로 예의주시해 왔다”면서 “북한의 핵 활동, 미사일 동향을 한미 정보 양국이 면밀하게 살피고 있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명백하게 말씀드린다”고 강조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북한의 핵 활동에 대한 연례 보고서’에서 5㎿(메가와트)급 원자로와 관련해 “7월 초부터 원자로 가동과 일치하는 냉각수 방출 등의 징후를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12월부터 중단됐던 원자로의 재가동 징후가 포착된 것이다. IAEA는 또 다른 핵시설로 알려진 평양 인근의 강선 지역에서도 내부 건설 작업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고 보고서에 적시했다.

하지만 정부는 지난달 27일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을 남북 관계의 희소식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해왔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통신선 복원 당시 정부가 영변 핵시설 가동 징후를 파악하고 있었냐’는 질문에는 “정보 사안에 대해서는 일일이 확인해주기는 어렵다”면서 “북한의 핵 활동, 미사일 동향은 한미 정보 당국이 면밀하게 살피고 있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리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한편, 청와대는 남북 평화를 지향하는 문재인 정부가 5년 임기 동안 국방비를 36.9% 증액하는 등 역대 정부보다 군비 증강에 적극적이었다는 지적에 대해 “군비 증강과 튼튼한 국방력은 한반도 비핵화나 항구적인 평화 정착을 위한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