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속 시한폭탄, 노후건축물⑧]노후건축물, 폭우·화재 피해 더 클 수밖에 없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기람 기자
입력 2021-08-09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불쏘시개 외장재' 두른 건물, 불나면 "방법이 없다"

  • 기후변화로 커지는 '홍수' 공포…한국도 위험지대

3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은 국지성 폭우, 화재 등에 대한 대비책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업계에서는 이상 기후로 인한 국지성 폭우 피해에 대해서도 정부·지자체는 노후 건축물에 대한 정기적인 점검을 확대하고, 위험건축물을 파악해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지난 6월 17일 화재가 발생한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쿠팡 덕평물류센터가 19일 폭격을 맞은 듯 처참하게 뼈대를 드러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불쏘시개 외장재' 두른 건물, 불 나면 "방법이 없다"

노후건축물은 화재 사고에 취약하다. 30년 전만 해도 건축물 외벽 마감재료에 대한 규정이 따로 없었기 때문에 노후 건축물의 외벽 대부분은 가연성 마감재로 이뤄져 있다. 건물에 화재가 나면 불이 빠르게 옮겨붙어 더 큰불로 번지게 된다.

관련 법규는 대형 화재 사고 이후 조금씩 수정돼 지금 수준에 이르렀다. 2010년 10월 부산 해운대구 우동 마린시티 내 초고층 주거용 오피스텔인 '우신골든스위트' 4층에서 시작된 화재가 순식간에 번져 38층까지 연소가 확대된 사건이 있었다.

이 사건 이후 건축물 외벽에 설치되는 외벽마감재료 관련 법령은 2011년 30층 이상, 높이 120m 이상 고층 건축물은 준불연(불에 잘 타지 않는 성질) 성능을 가진 재료로 시공하도록 규정했다.

또 5명이 사망하고 125명이 다쳤던 2015년 서울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이후 기준을 6층 이상(22m 이상)으로 시공토록 했으며, 2017년 29명이 목숨을 잃은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이후에는 3층 이상(9m 이상)으로 점차 강화했다. 화재에 강한 재료를 사용하는 대상 건축물의 범위를 크게 높이기도 했다.

이후에도 화재 사건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2018년 밀양 세종병원 화재 참사에서는 47명의 사망자가 나왔으며, 지난해 10월에는 울산 남구 주상복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해 피해를 입혔다. 이 화재들은 모두 건물 외벽이 드라이비트 공법으로 지어진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건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재료의 열화·손상 등으로 성능이 저하되고, 사용 기간 중 증축, 인테리어 과정에서 다양한 불법적 변경 행위로 인해 안전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경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화재안전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화재 분야 건축법 역시 내진과 마찬가지로 30, 40년 전보다 강화됐다. 그러나 개·보수가 이뤄지지 않은 노후 건물은 초기 시공 그대로 가연성 마감재를 쓰고 있는 상황"이라며 "노후 건축물은 화재에 노출됐을 때 위험도가 더 높다"며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벨기에 리에주에서 지난달 19일(현지시간) 한 시민이 최근 발생한 대홍수로 파괴된 차들과 주택의 잔해를 살피고 있다. 벨기에에서 현재까지 집계된 사망자는 31명이며 연락 두절 및 실종 추정자는 70명가량이다. [사진=AP·연합뉴스]
 

◆기후변화로 커지는 '홍수' 공포··· 우리나라도 위험지대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 기후 현상 심화로 홍수 피해가 극심해지면서 2000년 이후 대규모 홍수 위험에 노출된 인구 수가 이전 추정치의 10배 이상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미국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애리조나대, 콜로라도대 등의 연구진은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대형홍수 913건을 위성사진으로 수집한 뒤 해당 지역의 인구와 비교했다.

그 결과 홍수가 발생한 지역들에 새로 들어간 인구의 총합이 86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홍수지대의 인구 증가는 전 세계 인구 증가세보다 거의 2배 빠른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조사대상 홍수지대에서는 2000년 이후 평균 3차례 홍수가 난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의 원인은 강의 범람, 열대 폭풍, 댐이나 제방 붕괴 등 다양했다.

우리나라 역시 홍수의 공포 속에 살고 있다. 한국수자원학회의 수해 원인 조사(2020년 12월~2021년 7월)에 따르면, 수해 원인은 △집중호우·댐 운영관리·관련 제도 미흡 △댐·하천 연계 홍수관리 미비 △하천의 예방투자·정비 부족 등 복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8월 발생한 섬진강댐 하류 78개 지구, 용담댐·대청댐 하류 53개 지구, 합천댐·남강댐 하류 27개 지구 등 댐 하류 158개 지구에 발생한 수해 원인과 정부 후속 조치 계획을 발표했다.

심교언 건국대 교수는 "미국이나 독일 등 선진국의 경우, 국지적으로 이상기후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기존 50년이었던 홍수 발생 빈도를 100년으로 높이자는 논의에 나서고 있다"며 "비용문제 때문에 모든 나라가 적용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가적으로 고려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18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브라우나우 암 인에 있는 란스호펜보(洑)에 인강(江)의 물살이 세차게 부딪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서부인 잘츠부르크와 티롤 지역에는 홍수 경보가 발령된 상태다. [사진=AFP·APA·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