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시대 한국IT 영향] ① '화웨이 때리기 지속' 우려하는 국내 통신·SW업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임민철 기자
입력 2020-11-16 08: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클린네트워크로 화웨이 5G 배제 원하는 미국

  • 5G 통신인프라 투자 앞두고 있는 국내 이통사

  • 국내 클라우드 기업 서버 비용 부담 커질 수도

  • 화웨이 협력시 불이익 우려하는 한국 SW기업

중국 화웨이는 지난 수년간 노골적인 '반중(反中)' 태세였다고 평가되는 트럼프 행정부 체제의 대중(對中) 정책 노선에서 주된 표적이었다. 트럼프의 미국 상무부는 지난 2018년부터 화웨이의 반도체칩, 스마트폰, 5세대(5G) 이동통신장비 제조 기술 공급망을 끊으려고 노력해 왔다. 트럼프의 미국 국무부는 올해 한국더러 미국의 '클린네트워크' 정책에 동참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클린네트워크는 이동통신사들이 5세대(5G) 망 구축시 화웨이같은 '신뢰할 수 없는 중국 기업'의 제품을 배제하는 정책이다. 이런 미국의 요구에 우리 외교부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일단 미국의 대중 강경기조는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다자조약 참여, 한국·일본·호주와의 관계 개선 등 주변국과 관계를 다지는 방식을 취하겠지만, 경제·통상 문제 해법은 트럼프와 마찬가지로 자국우선·보호무역주의 노선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이다. 실제로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 12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의 첫 정상 간 통화에서 "한국은 인도·태평양 안보 번영의 핵심축"이라며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미국의 대중 노선에 참여를 요구한 셈인데, 그 노선에 미국이 화웨이같은 기업에 취했던 무역 제재도 포함될지 미지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 [사진=연합뉴스·AP]


다만 바이든 당선인이 대외적인 마찰과 불확실성을 키워 온 트럼프 행정부의 스타일까지 그대로 계승할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트럼프는 화웨이와 같은 중국 기업들을 표적 삼아 관세부과, 무역제재 중심으로 중국을 압박해 왔다. 이는 중국뿐아니라 미국과 다른 우방 국가의 경제와 기업 활동에 불확실성을 야기했다.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미국 대선 이전에 바이든이 "대외정책에서 자유무역의 회복에 비중을 두고 있다"며 그가 대선에서 승리시 "트럼프처럼 실속 없이 마찰만 확대하기보다 국제 무역질서를 지키는 가운데 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중국 견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화웨이의 글로벌 사업 향배는 바이든 시대 미국 정부의 대중 '강경 기조'가 어떤 형태로 구현될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는 국내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도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화웨이는 5G 기술 표준화를 주도하고 유럽 5G 통신장비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는 제조사다.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 등과 함께 5G 인프라 투자를 추진 중인 국내 이통사들에게 배제하기 어려운 선택지다. 이통사들은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위해 유·무선 인프라에 24조5000억~25조7000억원 투자를 예고했다. 내년 3G·LTE 주파수 재할당 대가도 치러야 한다. 당분간 지속적인 비용 부담을 진다. 그러나 향후 미국의 '화웨이 배제' 요구가 강화되거나 이 기업을 '국가안보 위협'으로 규정하는 방침이 유지될 경우, 합리적 판단이라 해도 화웨이 장비 도입을 결정하긴 어려워진다.

한국의 거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포털사나 대형 클라우드서비스 기업들에게도 비슷한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 이들은 연간 수천대의 서버를 구매한다. 구매 담당자의 의사 결정에 서버 '단가'가 중요한 요소다. 화웨이는 경쟁사 제품에 '가격 지렛대'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미국 브랜드 제조사 제품 대비 저렴한 화웨이 서버를 쓰기도 하고, 그에 상응하는 파격가를 제안하는 미국 업체 서버를 쓰기도 한다.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화웨이 서버가 배제되면 타 제조사들의 가격경쟁 부담은 줄고, 그만큼 기업의 데이터센터 운영비에서 서버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한다.

화웨이는 미국 서버 제조사들처럼 글로벌 기술 파트너 생태계 구축에 투자한다. 그래서 화웨이의 서버나 인공지능(AI) 가속장치가 중국을 포함한 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의 소프트웨어(SW) 판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화웨이의 하드웨어와 결합해 작동하는 SW를 만들어 제공하는 몇몇 한국 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화웨이의 기술 파트너 자격을 갖고 있거나 자격 확보를 추진하고 있고, 화웨이의 제품이 잘 나갈수록 이익을 얻게 된다. 그런데 굳이 그걸 알리려 하지 않는다. 미국의 국가안보 위협 규정으로 화웨이에 대한 인식이 나빠졌는데 자신들도 그로 인한 피해를 볼까 걱정된다는 이유에서다.

바이든이 실제로 화웨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 이미 적용된 관세 등 기존 무역 제재를 철회할지 여부는 지켜볼 부분이다.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는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그가 "트럼프처럼 실속 없이 마찰만 확대하기보다 국제 무역질서를 지키는 가운데 경쟁력 향상을 통해 대중국 견제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이달초 메리츠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바이든은 대선 공약에 미국 내수 활성화와 유럽 시장과의 관계 복원을 언급했으나 중국의 관세를 철회한다고 하진 않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