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학교]②교장 승진 창구로 변한 그 이름 ‘장학사’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윤상민 기자
입력 2020-02-09 11: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선진 교수법 알리는 장학사 제도, 교사들의 교장 승진 창구로 변질

  • 교육부·청으로 자리 옮겨 연구 대신 공무원 노릇…“보직 개념으로 바꿔야”

“장학사는 교육목표·교육내용·학습지도법 등 교육 현장을 지도·조언하는 업무를 합니다. 수업 개선이 핵심입니다. 그런데 교육부와 교육청에 가서 전형적인 공무원 노릇만 합니다. 아이들이 각자의 길을 어떻게 가게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하는데, 교장 승진하겠다고 장학사를 한다면 그런 장학사 제도는 없어져야 합니다.”

지방 거점국립대 교육학과에 재직 중인 A 교수는 현 장학사 제도를 이렇게 비판했다.

장학사, 장학관, 연구사, 연구관 등 교육 전문직은 모두 교사가 시험을 보는 직책이다. 시험에 합격해 장학사가 되고 일정 기간 근무하면 장학관으로 승진한다. 연구사도 마찬가지다.

장학사는 시·도교육청에서는 팀원이나 팀장, 학교에서는 교감이다. 장학관은 시·도교육청에서는 과장이나 교육장, 학교에서는 교장이다. 

장학사는 수업 개선을 위한 직책으로 일본에서 가져온 용어다. 전문 교사가 부족하고 과밀 학급이던 과거에 선진 교수법을 연구·전수하기 위해 만들어진 보직이다.

학령인구가 줄면서 서울 등 도시에서 교사 1인당 학급 학생 수가 30명 이하로 줄었다. 농어촌에선 교사 1인당 학급 학생 수가 10명 이하다. 교사 1인이 담당하는 학생 수가 줄면서 과밀 학급 시절의 여러 문제도 자연스럽게 사라졌다.
 

교육부 전경[사진=윤상민 기자]

그런데도 장학사 제도는 유지됐다. 게다가 일부 교사들이 장학사 등 행정 직책을 교장 승진 창구로 이용하면서 교육 현장이 무너지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서울 소재 사립대 사범대학에 재직 중인 B 교수는 “승진에 대한 목마름이 강하게 작동하는 것이 문제”라면서 “승진 체계를 바꿔 교사들에게 교수 학습과 아이들과의 학습에 전념하는 문화를 만들어주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같이 임용된 교사가 교감·교장이 됐다고 창피하게 여기는 순간 아이들과 만나는 게 부끄러워지는데, 교사 사회에선 이런 게 없어야 한다”며 “서열이 없는 것이 전문가 집단의 특성인데, 교사는 전문직이라면서도 교장·교감·수석 교사 등을 만드니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현재는 승진을 위해 장학사에 목을 매다 보니 교감·교장이 권위적인 지위로 바뀌고, 인사고과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가 구축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B 교수는 "대학교수 사회는 총장, 기획처장 등 보직을 맡고도 다시 평교수로 돌아온다"며 "교장, 교감을 하고도 평교사로 돌아오는 보직 구조로 장학사 제도를 운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충남의 한 초등학교 C 교장은 5년간 충남교육청에서 장학사를 지냈다. 그는 “교육청에 들어갔더니 장학사, 장학관들은 헌법, 교육법, 시행령으로 일하는 사람이더라”면서 “시·도 단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을 기획해줘야 하는데 법 근거만 따지면서 일선 학교에 공문만 하루에 수십개씩 보내는데, 교육 현장과는 너무 동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장관·교육감이 장학사에게 편하게 일 시키려고 교감·교장 승진이라는 이권을 주는 방식으로 이뤄지다 보니 학생 중심이 아닌, 쓸데없는 일까지 잔뜩 하게 한다”면서 “장학사든 연구사든 아이들 중심으로 한 교육에 생각을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