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서울대 연구팀, 유전체 분해 효소 작동원리 규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울산) 박동욱 기자
입력 2019-06-05 12: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울산과기원 생명과학부 이창욱 교수팀-서울대 화학과 이현우 교수팀 공동연구

유니스트 이창욱 교수와 박주미 대학원생. [사진=유니스트 제공]

UNIST(울산과학기술원)은 생명과학부 이창욱 교수팀과 서울대학교 화학과 이현우 교수팀이 DNA와 RNA 둘 다 분해할 수 있는 핵산 외부 가수분해 효소인 EXD2(3’-5’ EXonuclease Domain containing protein 2)의 작동 원리를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이 효소는 결합한 금속 보조인자의 종류에 따라 분해할 하나의 유전 물질을 선택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유전 물질인 DNA와 RNA를 모두 분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향후 유전체 조작기술에 새로운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팀은 고해상도 3차원 구조를 통해 EXD2에 결합한 금속 보조인자의 종류에 따라 분해하게 될 DNA나 RNA가 선택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DNA는 내외부 요인으로 인해 손상을 입게 되면 세포 스스로 그 손상을 인지해 교정하는 수선 기능(DNA repair)을 가지는데, 이때 사용되는 효소들 중 하나가 이번 연구에 사용된 EXD2다. EXD2는 DNA 이중 가닥 둘 다 절단, 분해하는 양 가닥 절단(double-stand break)에 관여한다고 알려졌는데, 그 위치가 DNA가 있는 세포핵이 아니라 세포핵 외부에 있는 ‘미토콘드리아’라는 가능성이 나오면서 위치·기능 연구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창욱-이현우 교수팀은 APEX2(Ascrobate PEroXidase) 단백질을 이용한 전자현미경 분석법과 근접 표지법(proximity labeling)을 통해 EXD2의 위치를 찾았고, EXD2는 DNA가 포함된 세포핵이 아닌 미토콘드리아 외막에 존재하는 막단백질로 밝혀졌다. EXD2의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서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했다. 그 결과, EXD2는 동일 분자 두 개가 중합된 동형이량체(同形二量體, homodimer)로 밝혀졌다. 이 구조로 인해 효소 활성 부위가 완성돼 DNA와 RNA를 모두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EXD2 효소가 활성화될 때 주변에 ‘C 말단의 나선 구조와 루프(C-segment)’가 추가된다. 그러면서 공간적 제약이 생기면서 DNA를 분해할 때는 망간만, RNA를 분해할 때는 망간과 마그네슘만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다른 핵산 외부 가수분해 효소와는 다르게 EXD2 단백질 효소가 특정 금속에만 활성을 띄는 금속 특이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즉, C-말단 루프 구조를 제거한 돌연변이를 이용하면 공간적 제약이 없이 다양한 금속이 결합해 비특이적으로 두 종류의 유전물질을 다 분해할 수 있다는 걸 밝혀냈다. 

이창욱 교수는 “EXD2가 다른 핵산 외부 가수분해 효소들과 다르게 금속에 따라 DNA와 RNA를 모두 분해할 수 있는 원리를 밝혀낸 중요한 연구”라며 “EXD2과 결합하는 금속 특이성에 따른 유전물질 선택 원리를 이용하면, 특정 유전물질만 선택적으로 분해할 수 있는 유전체 조작 기술의 새로운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옥스퍼드대학 출판사에서 발행하는 국제적인 생물학 저널 ‘뉴클레익 에시드 리서치(Nucleic Acids Research, IF: 11.56)’ 5월25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