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용섭 광주시장[사진=광주광역시 제공]
이 시장은 6일 오전 기아스포츠문화센터에서 열린 기아차 노사상생 효 한마당잔치에 참석해 “사회구성원 각자의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 아이들의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며, 광주의 운명을 광주가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광주는 정의로운 도시지만 오랜 차별과 소외로 인해 많이 낙후돼 실제 일자리가 없어 많은 사람들이 광주를 떠나고 있다”면서 “2017년에도 8100명이 광주를 떠났고 안타깝게도 이 가운데 66%가 젊은이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해 떠나는 광주에서 돌아오는 광주, 찾아오는 광주를 만들 것인가, 어떻게 해야 사람과 돈과 기업이 몰려와서 우리 아이들에게 일자리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 끝에 지난 1월 14일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노사상생도시를 선언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산업평화도시 노사상생도시의 첫 걸음이 바로 광주형 일자리다. 현재의 일자리에 나쁜 영향을 절대 주지 않을 것이며 오히려 지금 있는 일자리의 지속 가능성과 안전성을 키우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광주형 일자리로 광주에 1만2000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뿐 아니라, 한국경제 체질을 바꾸고, 제조업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하고 “대한민국에서 사업 못하겠다고 떠나려 했던 투자가들, 떠났던 기업들도 다시 돌아오는 리쇼어링 효과도 있다”고 했다.
이 시장은 “광주의 운명은 광주가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시장을 믿고 많이 도와주기 바란다”며 협조를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