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일교차 등 환절기로 편도염 환자 증가…9세 이하 취약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황재희 기자
입력 2019-04-01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2017년 편도염 환자 약 690만명

편도염 환자 5명 중 1명은 면역력이 약한 9세 이하로 나타났다. 아동의 경우, 미세먼지 나쁨인 날이 많고 일교차가 큰 지금과 같은 환절기에는 특히 목 관련 질환을 주의해야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5년 간 건강보험 적용대상자 중 편도염 질환으로 요양기관을 이용한 진료현황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1일 발표했다.

편도염은 편도를 구성하는 허편도, 인두편도, 구개편도 중 주로 구개편도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대부분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을 통해 발생한다.

건보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편도염 환자는 693만3950명으로 확인됐다. 2013년 진료인원은 797만명으로,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나 급성편도염은 2017년 다빈도 상병 4위를 기록했다.

편도염 질환자는 남녀 모두 9세 이하에서 가장 많았다.

2017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9세 이하 환자 비율이 전체 진료인원 중 21.2%(146만여명)를 차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가장 많았고, 30대가 16.2%(112만여명), 10대 13.2%(92만여명) 순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를 포함한 10대 이하의 진료인원은 약 238만명으로 전체 34.4%를 차지하고 있으며, 30대 진료인원도 112만명으로 전체의 16.2%가 병원을 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제공]

편도염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9세 이하에서 편도절제술 수술도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선 수술은 반복적인 편도염이나 편도‧아데노이드 비대에 의한 이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편도선을 제거하는 수술이다.

2017년 연령대별 상위 5개 수술현황 자료를 보면, 편도절제술은 9세 이하에서 1위이며, 10대에서 2위, 20대에서 5위를 차지했다. 9세 이하, 10대에서 수술이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편도염 환자는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와 겨울철에 가장 많다.

2017년 편도염 환자의 월별 평균 진료인원 추이를 보면,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3월~4월, 9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로 갈수록 꾸준히 증가해 12월에 가장 많다.

신향애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일교차가 커지는 환절기나 초겨울에는 실내‧외 기온차가 커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고, 미세먼지나 건조한 대기로 상기도 점막이 약해져 바이러스나 세균이 편도에 침입해 편도염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소아의 경우 면역체계가 발달 중인 단계로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침입했을 때 편도염에 더 잘 걸리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