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치 초콜릿' 능가하는 동남아 단짠단짠 초콜릿 열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문은주 기자
입력 2019-03-28 13:5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필리핀, 전통음식 '아도보' 접목한 초콜릿바 등장

  • 말레이시아·베트남도 전통맛 가미한 초콜릿 인기

#미국에서 웹 개발자로 일하던 필로 추아(Philo Chua) 씨는 28세이던 지난 2007년 조국인 필리핀에 돌아왔다. 자기만의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서였다. 전통 고기 스튜인 아도보(adobo), 깔라만시, 소금에 절인 녹색 망고 등 필리핀 전통 음식과 향을 가미하는 실험을 계속 했다. 그 결과 간장과 검은 참깨, 캐슈 등을 넣고 만든 2달러짜리 아도보 밀크초콜릿바를 선보였다. 이 초코바는 유럽과 미국 초콜릿 연구소에서 상을 받는 등 크게 주목 받고 있다. 
 
#말레이시아의 옹닝겅(Ong Ning Geng) 씨는 직접 설립한 '초콜릿 컨시어지'라는 회사에서 다양한 초콜릿을 제작하고 있다. 비법을 만드는 데만 2~3년이 걸렸다. 옹 씨는 초콜릿의 주재료인 코코아를 71일이나 발효한다. 기존 초콜릿 발효일보다 12배나 길다. 그 과정에서 매운 국수 스프인 아삼 락사(asam laksa) 같은 전통 음식은 물론 다양한 꽃과 과일, 열매 등을 가미하면서 독특한 초콜릿 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은 현재 싱가포르, 태국 및 베트남으로 수출한다. 

김치 초콜릿은 한때 '괴이한 혼종'이라는 시선을 받았다. 한국의 전통 음식인 김치가 초콜릿과 어울리지 않을 것이라는 편견이 한 몫 했다. 그런데 최근 동남아시아에서 이러한 초콜릿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기존 초콜릿에서 벗어나 장인정신을 갖고 조국의 고유 맛을 접목시키려는 대담한 시도라는 평가다. 

블룸버그통신의 27일 보도에 따르면 '혼종' 초콜릿은 비단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만의 트렌드는 아니다. 베트남의 마루 페서 드 쇼콜라(Marou Faiseurs de Chocolat)는 베트남 고원 지대인 람동 성의 붉은 토양에서 자라는 베트남산 코코아 원두를 사용해 초콜릿을 만든다. 아니스, 카르다몸, 고수풀, 회향, 계피와 후추 등을 가미하는 것은 덤이다.

사업 초창기만 해도 사람들은 이 초콜릿을 만드는 빈센트 머러우(Vincent Mourou) 씨를 보고  '미쳤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현재 호찌민 기반의 이 초콜릿 공장은 소량이나마 서유럽, 북미, 아시아 북부 등 20개국에 초콜릿을 수출하고 있다. 파리에서 열린 연례 초콜릿 아카데미 수상식인 '살롱 뒤 쇼콜라'에서 명성을 날리기도 했다. 
 

[사진=아이클릭아트]


인도네시아의 초콜릿 브랜드인 크라카코아(Krakakoa)도 빠지면 서운하다. 코코아 원두를 직접 수확해 바다 소금과 후추, 칠리, 계피와 생각으로 맛을 낸 4달러짜리 초코바는 인기 상품 중 하나다. 인도네시아 물가 기준으로는 다소 고급 가격대지만 꽤나 눈길을 끌고 있다.

고온다습한 기온에서 녹기 쉬운 초콜릿의 특성상 동남아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실제로 아시아 내 소비자들의 초콜릿 섭취량은 매년 세계 초콜릿의 절반 이상인 540만톤의 과자류를 먹어치우는 북미·유럽인들에 비하면 턱없이 적다.

그런 면에서 본다면 소비율이 낮은 상황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각국 지역의 풍미를 담아 새로운 초콜릿 맛을 고안하는 초콜릿 생산업자들은 차라리 장인에 가까워 보인다. 고유의 맛을 담아 다양한 입맛을 사로잡기 위한 초콜릿 장인들의 다음 작품에 기대감이 모아지는 이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