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간호사 만세운동 주동자였던 신채호 아내 박자혜, 종로 참외장수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상국 논설실장
입력 2019-02-27 14: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박자혜와 신채호(오른쪽)의 결혼기념 사진 = 2009년 독립기념관 공개]




1919년 일제 총독부 병원에서도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3월 1일 이후 수많은 만세시위 부상자들이 병원으로 옮겨져 왔다. 피를 흘리고 신음하는 수많은 조선인 부상자들을 치료하면서 몹시 분노를 터뜨리는 한 간호사가 있었다. 3월 6일 그녀는 근무를 마치고 동료간호사들을 옥상으로 불러모아 말했다. "우리는 저렇게 죄없이 다친 사람들을 치료만 하고 있을 겁니까? 우리도 만세를 불러야지요." 이후 병원 내에 간우회(看友會)라는 독립운동 단체가 만들어졌다. 그들은 유인물을 만들었고 나흘 뒤인 10일 만세시위를 벌인다. 곧 의사들도 합세했다. 총독부 병원의 의사와 간호사의 태업이 시작됐다. 이것이 '간우회 사건'이다. 주동자로 24세인 그녀가 체포되어 수감된다.

이 간호사가 단재 신채호의 부인 박자혜(1895~1944)다. 서울 수유리 출신인 그녀는 6살 때 아기나인(內人)으로 궁궐에 들어가 소학, 규범, 내훈을 익혔다. 1910년 경술국치 때 일제는 궁녀와 내시 수백명을 해고하는데, 이때 박자혜도 궁에서 쫓겨났다. 함께 출궁한 상궁 조하서는 그를 아껴 명신여학교(현 숙명여학교 전신) 기예과와 사립 조산부 양성소에서 교육받도록 도와줬다. 총독부 병원 간호사가 된 건 그 때문이었다. 3·1운동은 그녀를 각성시켰다. 조국 독립만이 인간답게 사는 길이다. 병원장의 보증으로 감옥에서 풀려난 뒤 박자혜는 중국으로 건너간다. 거기서 지인의 추천으로 연경대학 의예과에 들어간다. 1920년 봄 우당 이회영의 부인 이은숙이, 그녀에게 한 남자를 소개시켜준다. 북경에 와 있던 40세 신채호였다. 단재는 서른에 첫부인과 별거한 뒤 10년째 독신으로 지내고 있었다. 25세 박자혜는 열다섯살 연상인 독립투사 문필가와 북경시내 한 여관방에서 신혼을 보냈다.

그러나 극심한 생활고를 겪던 부부는, 2년 뒤인 1922년 떨어져서 각자 도생하기로 한다. 박자혜는 뱃속에 아기를 가진 몸으로 등에 장남을 업고 서울로 돌아온다. 친척집과 지인의 집을 전전하며 돌아다닐 때 의열단원 나석주가 찾아온다. 1926년 겨울이었다. 그는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회사를 폭파할 계획을 털어놓았다. 박자혜는 황해도 출신이라 서울지리가 어두웠던 나석주에게 건물의 위치와 움직일 동선을 설명해줬다. 던진 폭탄은 불발했으나, 나석주는 일본경찰들과 총격전을 벌이다 자결을 한다. 

아는 사람 집을 전전하던 끝에 1927년 그녀는 인사동 69번지에 '산파 박자혜'란 조산원을 차린다. 식민지의 가난 속에서 애를 낳으러 오는 이도 없어서 파리를 날렸다. 교동보통학교 2학년인 아들 수범과 함께 종로 네거리에서 참외를 팔며 연명했다. 남편 신채호에게서 편지가 왔다. 그는 '외국위채위조사건'으로 10년형을 선고받고 여순감옥에 수감되어 있었다. "조선옷에 솜을 많이 넣어 두툼하게 만들어 하나 보내주시오." 방세가 벌써 석달이나 밀린 아내는 그 청을 들어줄 수 없었다. 찾아온 동아일보 기자에게 "대련이야 오죽 춥겠습니까"라고 말하며 흑흑 운다. 이 소식을 들은 신채호는 다시 편지를 써서 "힘겨우면 아이들을 고아원에 보내시오"라고 했다. 답답한 편지였지만 그것이라도 더없이 반가웠다.

1936년 관동형무소(뤼순감옥)발 전보 한통. "신채호 뇌일혈로 생명위독". 이튿날 박자혜가 부랴부랴 감옥으로 갔을 때, 남편은 의식불명 상태였다. 2월 21일 신채호는 숨을 거둔다. 사흘 뒤 박자혜는 유해를 열차에 싣고 귀국한다. 신채호의 죽음 이후, 박자혜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는 기록이 없다. 1942년 차남이 영양실조와 폐병으로 숨진 것으로 보아, 그 가난을 짐작할 수 있다. 남편이 돌아간 뒤 8년 뒤인 1944년 10월 16일 박자혜는 해방을 한해 앞두고 단칸 셋방에서 죽음을 맞는다. 유해는 화장한 뒤 한강에 뿌려졌다. 1990년 그녀는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2008년 청주 신채호의 묘소에 박자혜의 위패가 놓였다. "당신이 남겨놓고 가신 비참한 잔뼈 몇 개 집어넣은 궤짝을 부둥켜안고 마음 둘 곳 없나이다"며 신채호의 유골함을 든 채 오열하던 아내. 기구한 시대에 정상적인 나라를 꿈꾸던 남녀 사이에 오간 그 애틋하고 미안한 마음은 흘러가버린 강물처럼 가뭇없다. 

                                              이상국 논설실장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