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자산 10억 부자들 “규제에도 부자 자산이 절반”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에도 부자들은 부동산 투자를 지속적으로 늘려온 것으로 나타났다.

KEB하나은행은 28일 부자보고서를 통해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고객 9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자산 중 부동산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평균 53.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보다 2.5%p 상승한 수치다.

부자들의 전체 자산 중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0년 48%에서 2012년 45%, 2013년 44%까지 떨어진 이후 2014년을 기점으로 47%를 기록하며 상승세로 전환했다. 이후 2016년 50%, 2017년 51%, 2018년 53%까지 점차 늘어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강남 3구를 포함한 서울 및 수도권 거주 응답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은 증가한 반면 지방 거주 응답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은 오히려 감소했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부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은 지난해 보다 5% 늘어난 53%를 기록한 반면 지방에 거주하는 부자들의 부동산 자산 비중은 46%에서 43%로 감소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원인이 서울 및 지방간 부동산 가격 양극화 현상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실제 KB부동산 통계정보에 따르면 2018년 아파트매매지수 증가율은 전국이 3.0%인 가운데 서울 13.6%, 수도권 6.8%을 기록한 반면 6대 광역시는 0.6%에 불과했다.

향후 부동산 경기에 대해서도 서울지역의 경우 현 상태로 유지된다는 답변이 46%에 달했지만, 지방 부동산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2%가 침체될 것으로 답변했다.

총자산 규모가 증가할수록 부동산 투자 비중도 높아졌다. 10~30억원 미만은 40.4%의 부동산 투자 비중을 보였고, 30~50억원 미만은 53%, 50~100억원 미만은 53.3%, 100억원 이상은 전체 자산의 55.1%를 부동산에 투자했다.

부자들의 부동산 투자처는 상업용부동산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 거주목적주택, 투자목적주택, 토지 순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직전 조사 대비 상업용부동산의 비중은 5%p 감소한 반면 거주목적주택과 투자목적주택 비중은 각각 6%p와 4%p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와 7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 투자목적주택 비중이 낮고 상업용부동산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연령층의 경우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투자목적주택을 통한 자본이득보다는 상업용부동산을 통한 안정적인 소득을 더 원하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