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스페셜-임시정부의 맏며느리 수당 정정화②] 대동단 결성…임정 고문 추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기연 기자
입력 2018-03-26 10: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정정화 시아버지 동농(東農) 김가진

대한제국 대례복 착용한 김가진 [사진=국립민속박물관]


조선 말기의 문신이며 독립운동가로, 자는 덕경(德卿), 호는 동농(東農), 본관은 안동이다. 세도가 안동김씨 일문이었으나 서얼이었기에 규장각 검서관으로 관직을 시작해, 외교통상 분야에서 일찌감치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능력과 인품을 아낀 고종의 배려로 41세(1886)에 과거 급제하고, 주일공사(1887)로 4년간 일본에 주재했다.

김옥균, 서재필 등 갑신정변 주역들과 교류했으며, 갑오경장(1894) 당시 군국기무처회의원, 외부협판, 농상공부대신을 역임했다. 독립협회(1896) 창설의 주역으로서 독립문 편액을 썼으며, 대한협회(1908) 회장에 취임해 <대한민보>를 발행하며 국권회수운동에 나서 매국단체 일진회와 대립했다.
 

[동농 김가진이 쓴 독립문 편액]


경술국치 이후 조선귀족령에 따라 남작의 작위가 주어졌으나, 1919년까지 두문불출하다가, 3․1운동 직후 전협(全協), 최익환(崔益煥) 등과 함께 대동단을 결성해 총재를 맡았다. 그해 10월 아들 김의한(金毅漢)과 함께 상해로 망명, 임시정부 고문 및 북로군정서 고문으로 추대되었다.



동농은 신문물 도입 및 제도개혁에 앞장서며 애국계몽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한학에 정통했고, 서예로 유명했을 뿐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 영어에도 능통했다. 1922년 상하이에서 순국, 쑹칭링능원에 묻혔다. 국가보훈처는 ‘남작 작위를 공식적으로 반납하지 않았다’는 석연찮은 이유로 독립유공자 서훈을 보류했으나, 그의 아들 김의한과 며느리 정정화에게는 각각 독립장과 애족장이 서훈되었다.



 
김자동, <임시정부의 품 안에서>, 푸른역사, 2014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