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의 별'…상고 출신이 대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안선영 기자
입력 2018-01-03 1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아주경제 DB]


'은행원의 별'로 불리는 부행장급 인사에 올해도 상고 출신이 대거 포진했다. 학벌보다는 능력 위주의 인재 발탁이 이어지면서 핵심 요직에 오르고 있는 것이다.

인사철마다 '고금회(고려대 출신 금융인 모임)', '서금회(서강대 출신 금융인 모임)' 등 특정 대학 출신이 금융권 핵심 인맥으로 떠올랐던 것과 달리 학연, 지연을 배제하고 성과만으로 인재를 판단하겠다는 은행의 인사 방향이 자리잡은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최근 임원 인사를 통해 새로 선임된 부행장 7명 중 6명을 상고 출신(이하 입행 당시 기준)으로 발탁했다. 총 8명의 부행장 중 6명이 상고 출신인 셈이다.

허정진 기관그룹 부행장(광주상고), 이창재 부동산금융그룹 부행장(동대문상고), 이동연 중소기업그룹 부행장(강경상고), 정채봉 IB그룹 부행장(목포상고) 등이 그 주인공이다. 연임에 성공한 김선규 여신지원그룹 부행장 역시 대구상고 출신이다. 연공서열보다 능력 및 업무성과 위주 인사를 강조한 손태승 행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신한은행에서는 ICT그룹을 총괄해온 서춘석 부행장보가 부행장으로 승진했다. 서 부행장은 대표적인 덕수상고 출신 금융인이다.

부행장보까지 범위를 넓히면 이번에 승진한 이명구(덕수상고)·이내훈 부행장보(선린상고)가 모두 상고를 나왔다. 윤상돈(광신상고)·김창성 부행장보
(경기상고)는 연임됐다.
 
KEB하나은행에서는 이번에 유임이 결정된 한준성 미래금융그룹 부행장이 선린상고 출신이다. 한 부행장은 1987년 국민은행에 입행한 후 1992년 하나은행으로 옮겨 은행권 최연소 부행장 타이틀과 함께 상고 출신의 입지적인 인물로 불린다.

함영주 은행장(강경상고)도 상고 출신 행장으로 유명하다.

KB국민은행은 이번에 부행장을 8명에서 3명으로 대폭 줄이고 오평섭 영업그룹총괄 부행장, 박정림 WM총괄 부행장, 전귀상 경영지원그룹총괄 부행장 체제로 바꿨다. 이 중 오평섭 부행장이 광주상고 출신으로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과 선후배 사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업을 둘러싼 환경이 빠르게 변화 중이고 은행 간 경쟁도 치열해지다 보니 관행에 얽매이기보다 전문성과 성과에 초점을 맞춰 인사를 단행한다"며 "내부에서도 특정 대학 출신보다는 업무성과와 리더십 등 실무평가 위주로 평가하겠다는 분위기가 자리잡고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