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반환 20주년을 바라보는 세 가지 키워드…대륙화·양극화·일체화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7-06-29 17:3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김효곤 기자]

아주차이나 김봉철 기자·박세준 홍콩통신원 = 화려했던 과거와 혼란스러운 현재, 그리고 불투명한 미래…. 홍콩의 ‘롤러코스터’ 같은 영욕의 역사를 요약한 표현이다.

홍콩은 원래 중국 땅이었다가 영국에 뺏긴 후, 다시 중국에 반환된 굴욕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지난 1997년 7월 1일 0시, 역사적인 홍콩의 중국 반환으로부터 20년이 지난 지금 홍콩의 모습은 상당 부분 바뀌었다.

주권 이양과 함께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실험이 시작된 이래 오늘날 홍콩의 ‘대륙화(중국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 3, 19, 11면>

20년 동안 홍콩은 정치·사회·문화적으로 자유를 누려왔다. 중국은 홍콩 반환에 앞서 외교·국방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홍콩의 기존 자본주의 시스템과 법·제도를 2047년까지 50년 동안 유지한다고 약속했다.

그러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취임한 2013년 이후로는 분위기가 달라졌다.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2014년의 ‘우산혁명’ 민주화 시위는 무력 진압됐다.

현재까지 홍콩 대표가 중국의 국회 격인 전준인민대표대회나 국정자문기구인 전국정치협상회의에 형식적으로 참여는 한다.

시 주석은 홍콩 행정장관을 만날 때마다, 상석에 앉아 홍콩인들에게 상하관계를 인식시켰고, 정부 인사들은 친중파로 채워졌다.

2015년 중국 권력층 비리를 다룬 책을 낸 서점 주주, 경영자 등 5명이 줄줄이 홍콩에서 납치돼 중국으로 끌려가는 일이 일어났고, 올 초에는 중국의 한 재벌이 홍콩 호텔에서 중국 요원들에 의해 연행됐다.

류영하 백석대 교수는 “중국과 홍콩 관계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로 해석이 가능하다”면서 “중국 정부가 너무 서두르는 바람에 오히려 홍콩인들이 잊고 있던 자신들의 정체성을 더 깊이 인식하고 반발하게 만드는 역효과를 냈다”고 지적했다.

경제적으로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 20년 전 중국 입장에서 홍콩의 역할은 중요했다.

중국은 홍콩을 자본시장 개방의 창구로 삼고, 미국과 유럽 등과 교역의 문을 열었다. 하지만 지금은 전세가 역전됐다.

홍콩은 한때 국내총생산(GDP)이 289억 달러로 중국 본토 1894억 위안의 15.3%에 달했다. 홍콩이 중국에 반환된 1997년에는 본토의 GDP가 9526억 달러, 홍콩은 1773억 달러로 홍콩의 GDP가 본토의 18.6%까지 올라갔다.

이후 중국의 경제는 무서운 성장을 거듭했고, 홍콩 GDP는 본토의 3%대로 추락했다. 반환 당시 한국을 비롯해 대만,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중의 하나로 불렸던 홍콩의 모습은 퇴색된 지 오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중국과 서방 세계의 ‘연결통로’로서 홍콩의 역할이 이제 빛을 바랬다”고 진단했다.

외형적으로는 홍콩도 수혜를 입었다. 국내총생산(GDP)은 1997년 1조3650억 홍콩달러에서 2016년 2조4913억 홍콩달러로 2배 가까이 성장했다. 이에 따라 1인당 GDP도 1997년 2만7000달러에서 2016년 4만4000달러로 늘었다.

이 같은 성장은 그만큼 홍콩의 대(對) 중국 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홍콩무역발전국(HKTDC)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홍콩의 1위 교역 상대국은 중국이다. 홍콩의 대 중국 수출액은 지난해 1조9434억 홍콩달러로 1997년에 비해 282% 증가했다. 홍콩의 총 교역액에서 중국의 비중은 50.8%로 절반을 넘어섰다.

수치적인 성장과 달리 과도한 차이나머니 유입의 부작용으로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등 서민들의 삶은 더 팍팍해졌다. 소득 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지난해 11일 통계청 발표에서 0.539를 기록해 1945년 이래 최대치가 됐다.

본토 자본의 투기로 인해 현재 홍콩의 집값은 1999년과 비교했을 때 3배 넘게 폭등했다. 주택 월세 역시 3배, 매장 및 사무실 임대료는 5배 가까이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임금 상승률은 2배에 그쳤다. 20~24세 홍콩인 젊은 층의 월평균 임금은 1만1900홍콩달러(약 173만원)에 그치고 있는데 반해 18.6㎡(약 5.6평)의 소형 주택 월세는 최소 1만 홍콩달러(약 146만원)나 된다.

중국의 정치·경제적인 일체화 작업과는 반대로 홍콩인들이 느끼는 중국과의 심리적 간극은 더욱 커지고 있다.

홍콩대학이 발표한 ‘시민 민족 정체성 조사’에서 ‘중국인’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20.9%로, 자신을 ‘홍콩인’(37.3%)이나 ‘중국의 홍콩인(26%)’이라 답한 응답자에 크게 못 미쳤다.

60%가 넘는 홍콩인들이 자신을 ‘본토 중국인과 구별되는 독특한 정체성을 지닌 사람’으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괴리감에는 홍콩 사회 전반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 심화, 중앙정부의 정치적 개입 등에 대한 반작용으로 생기는 중국에 대한 반감, 홍콩의 대륙화를 막지 못하는 홍콩인들의 무력감이 자리하고 있다.

임대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영국도 아니고 중국도 아닌 홍콩이 원래 갖고 있던 특유의 혼종적인 양상이 사라졌다”면서 “홍콩은 중국으로부터 20년 동안 사회주의적인 대륙화를 강요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중국은 주류인 한족(漢族)과 55개의 소수민족으로 이뤄져 있는데 57번째 ‘홍콩족’이라는 민족이 새롭게 태어났다고 볼 수 있다”면서 “티베트족이나 위구르족처럼 홍콩도 이제는 중국의 관리 대상이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