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 국책사업으로 최종 확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12-01 15:5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채열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부산시가 파워(전력)반도체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한다.

부사시는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이 지난해 12월에 기재부에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선정돼, 올해 1월부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의 타당성 검증을 거쳐, 11월 30일 국책사업으로 최종 확정돼다고 1일 밝혔다.

그 동안 이 사업은 기재부 심사에서 여러 번 탈락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어 왔다. 최근 디젤차 파동으로 인해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등 친환경 자동차와 풍력, 태양광 등 에너지신산업 분야에서 파워반도체 수요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파워반도체 시장은 일반적으로 쓰이는 실리콘(Si)칩보다 전력공급장치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에너지효율을 더 높일 수 있는 탄화규소(SiC)와 질화 갈륨(GaN) 기반의 화합물 반도체로 진화하고 있다.

이번 '파워반도체 상용화 사업'은 SiC, GaN 등 화합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재기획해 타당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그동안 부산지역 산, 학, 연, 관의 결연한 의지와 전문가들의 끊임없는 지원으로 이루어낸 성과이다. 부산시의 지역 R&D 유치 전문기관인 부산과학기술기획평가원(BISTEP)에서 큰 역할을 했다는 후문이다.

동남권역에는 자동차, 조선, 중전기기 등 파워반도체 수요시장이 이미 형성돼 있어 부산이 파워반도체 산업의 최적지인 셈이다. 부산시는 기장군에 있는 방사선의과학산업단지 일대를 파워반도체 산업의 메카로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지난해 5월부터 파워반도체 기업의 역량을 결집하기 위해 전국 100여개 회원사로 구성된 한국전력소자산업협회가 부산에서 출범한 바 있다.

또한 부산시는 수도권 파워반도체 관련 21개사와 방사선 의·과학산단 입주협약을 체결했다. 현대차, 르노삼성차 등 파워반도체 최종 수요자와 구매협약을 체결해 안정적인 수요처도 미리 확보했다.

이번 예타 사업을 통해 차세대 파워반도체 연구개발은 물론 한 곳에서 시제품 제작과 신뢰성 분석까지도 가능한 일괄공정 시설을 마련하게 된다. 2017년부터 2023년까지 7년간 836억5천만원(국비 543.2, 지방비 153.3, 민자 140)의 예산이 투입된다.

SiC, GaN 등 6개 소자기술 연구개발 부문에 564억원, SiC 일괄공정 및 연구플랫폼 구축 부문에 272억5천만원이다. 여기서 일괄공정 및 연구플랫폼은 부산대학교 부산멤스나노부품센터를 활용하게 된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고효율 파워반도체 세계 시장을 조기에 선점하고 90%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핵심기술을 국산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일자리 유발 1,700명, 생산 유발 7,800억원, 부가가치 유발 2,400억원 등의 직접적인 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