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행정복지센터 운영 열흘… 구청 없애니 시민편의 ‘쑥’

  • 부천시 행정복지센터 운영 열흘… 구청 없애니 시민편의 ‘쑥’

아주경제 이등원 기자 =경기도 부천시의 행정체제 개편이 13일로 운영 열흘을 맞았다.

시행 열흘이 지난 지금, 구를 폐지한 부천시 행정은 “민원처리가 빨라졌다. 보건소를 가지 않아도 행정복지센터 100세 건강실에서 보건서비스를 받아 좋다”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시·구·동으로 이어지는 기존 3단계 행정체계가 시-동의 2단계로 줄어들면서 그만큼 민원 해결 시간이 줄어들었다. 행정복지센터 운영과 동시에 남양주시 등 다른 지자체의 벤치마킹과 문의전화도 잇따르고 있다.

현재 행정복지센터에선 복지돌봄, 건강관리, 일자리, 생활체육, 청소, 공원관리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민원을 원스톱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전까지는 이들 업무의 상당수가 구청이나 시청까지 가야 처리가 가능했던 업무다.

행정복지센터에 ‘맞춤형복지팀’이 신설돼 법적, 제도적 보호를 받지를 못하는 지역사회의 위기가정을 적극 발굴, 다양한 복지자원과 연계하는 등 맞춤형 복지를 펼치고 있다.

주민들이 행정복지센터를 즐겨 찾을 수 있도록 심곡2동 행정복지센터 등 5곳에 ‘만화카페’도 설치했다.

행정복지센터 환경기동반의 인력도 7명에서 21명으로 늘려 무단투기 처리, 불법 현수막 제거 등 생활민원을 바로바로 처리하고 있다.

김태산 중4동장은 “쓰레기 처리 등 각종 생활민원을 즉시즉시 처리하면서 주민들의 행정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을 피부로 느낀다”고 말했다.

행정복지센터 운영으로 복지, 청소, 건강관리 분야의 만족도가 높아졌다. 특히 건강 원스톱 서비스와 상담을 받을 수 있는 ‘100세 건강실’이 시민들에게 가장 반응이 좋다.

중4동 행정복지센터 100세 건강실 강효정 실장은 “운영 첫 주에는 어르신들이 많이 오셔서 뼈 고밀도를 체크하고 치매검진을 받는 상담이 주를 이뤘는데 최근엔 젊은 분들도 많이 찾는다”며 “체지방 검사, 금연상담, 원격화상 상담이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행 초기인 만큼 구 폐지에 따른 혼란도 있다. 일부 시민은 업무를 보기 위해 폐지된 구청이나 다른 지역 행정복지센터를 찾기도 했다. 일반동에서 발급 가능한 민원서류를 발급받기 위해 거리가 먼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한 사례도 종종 있다. 시는 이런 점을 막기 위해 한 달 정도 차량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시민들이 많이 찾는 ‘100세 건강실’ 공간과 대기 장소가 협소하다는 지적도 있다. 시는 7월 한 달 간 ‘100세 건강실’ 운영결과를 꼼꼼히 분석해 보완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안정민 행정국장은 “항목별 체크리스트를 기준으로 동별 업무분석 데이터를 한 달, 100일 단위로 분석해 행정복지센터와 시의 업무를 다시 조율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행정복지센터가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운영 안정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만수 시장이 심곡2동 행정복지센터에 설치된 ‘만화카페’를 둘러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