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북한, 김정은 정권 유지위해 무기급 핵물질 생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4-01 10:5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핵안보정상회의 업무만찬…"북한, 원자력시설 안보위협 가능성"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31일 오후(현지시간) "북한은 오직 김정은 정권의 유지를 위해 핵 비확산, 핵안보, 원자력 안보에 관한 모든 국제 규범을 무시하면서 20년 넘게 무기급 핵물질 생산과 축적을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핵안보정상회의 업무만찬에 참석, "북한은 금년 초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우려에도 네 번째 핵실험을 강행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2009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시설 접근을 차단한 이후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물질 생산과 축적, 관리 현황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태"라며 "더욱이 과거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무인기 침투 시도를 감안하면 새로운 기술을 악용해 원자력 시설의 안보를 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여기 모인 우리 모두는 핵무기 없는 세상이라는 비전의 실현을 위해 지난 수년간 의지를 갖고 함께 노력해왔다"며 "그러나 북한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면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정면 도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핵무기 없는 세상은 한반도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저의 생각은 확고하며, 북한 비핵화는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국제사회 핵안보 증진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과제"라며 "북한이 생각과 행동을 바꿔 비핵화의 길로 나올 수밖에 없도록 국제사회가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하게 이행하면서 북한에 단호하고 일치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핵테러 위협과 관련, "다양한 형태로 상존하고 있기 때문에 핵안보를 위한 우리의 연대와 전진은 여기서 멈춰서는 안 될 것"이라며 "무인기를 사용한 원자력 시설침투나 방사성 물질의 살포, 원전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공격과 같이 신기술을 악용한 위협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