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난민 서울 엑소더스 심화…작년 탈서울 18년 만에 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6-01-27 14:5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전셋값 상승 고공행진 영향…13만7000명 순유출

  • 지난해 4분기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74% 달해 역대 최고치

[그래픽 = 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노승길 기자 = 전셋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자 주택 문제로 서울을 떠나는 서울 엑소더스(탈출)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난에 지쳐 주택을 사는 쪽으로 돌아선 이들이 많아진 데다 주택 매매거래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탈(脫)서울' 인구는 14만명에 육박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5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서울로 들어온 인구(전입)는 158만9431명, 떠난 인구(전출)는 172만6687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전입 인구에서 전출 인구를 뺀 순유출 인구는 13만7256명에 달했다.

서울의 순유출 규모는 1997년(17만8000명) 이후 18년 만에 가장 많은 것으로 전국 17개 특별·광역시·도 가운데서도 압도적인 순유출 1위다.

서울 다음으로 대전(-2만2000명), 부산(-1만4000명), 대구(-1만4000명), 광주(-9000명)가 뒤를 이었다.

서울의 인구 순유출은 1990년부터 26년 연속 이어졌으나 지난해 순유출 규모가 유독 컸던 배경에는 주택 매매거래가 늘고 전세난, 정부부처·공공기관의 지방이전이 원인으로 꼽힌다.

우선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량이 119만3000건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셋값의 고공행진으로 전세를 구하던 사람들이 주택 매매로 눈을 돌리면서 거래량 증가세는 한층 탄력을 받았다.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량이 전년보다 18.8% 늘어난 데 비해 전월세 거래량은 0.4% 증가하는 데 그친 점은 전세수요자의 주택 구매를 유추할 수 있다.

서울보다 집값이 싼 수도권 등에 집을 사서 서울을 떠나는 인구가 그만큼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날 발표한 '2015년 4분기 부동산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74.0%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전세가격 상승률이 매매가격 상승률을 지속적으로 상회하면서 전세가율은 매 분기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작년 4분기 전세가격 상승률은 5.6%로 매매가격 상승률(4.4%)을 웃돌았다.

통계작성 이래 최초로 수도권 전세가율이 지방 5개 광역시 전세가율을 웃돈 지난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수도권 전세가율(74.7%)이 지방 5개 광역시(72.8%)보다 높게 나타났다.

문제는 앞으로도 전세가격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다.

KDI는 보고서를 통해 "서울의 경우 올해 3만 가구가 재건축으로 이주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2만3000가구에 그쳐 전세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서울 전출자의 절반 이상은 60.2%는 경기도로 향했다. 인천이 7.5%, 강원이 3.8%로 뒤를 이었다.

서울 순유출 인구의 61.8%(8만 5000명)는 '주택'을 이동 사유로 꼽았다.

다음으로는 가족(23.2%), 직업(21.2%) 등이 뒤를 이었다. 전체적으로 주택, 가족, 직업 문제로 이동한 인구는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교육, 주거환경으로 이동한 인구는 감소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서울시 인구 순유출에는 주택 매매거래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며 "115개 공공기관 가운데 105개 기관이 작년 말까지 혁신도시로의 이동을 완료한 것도 순유출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인구 순유입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9만5000명)였으며 세종(5만3000명), 제주(1만4000명)가 뒤를 이었다.

2012년 정부 청사 이전이 시작된 이후 세종시 순유입 인구는 2013년 9000명, 2014년 3만3000명 등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인구 수를 고려할 때 순유입이 많은 곳은 세종(29.0%·순유입률), 제주(2.3%), 경기(0.9%) 순서였다.

시군구 별로는 부산 강서구(16.3%)와 경기 하남시(11.0%), 경기 화성시(8.9%)의 인구 순유입률이 높았다.

서울 강동구(-4.4%), 대전 동구(-2.8%), 대전 대덕구(-2.7%)는 순유출률이 높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