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이주영 의원. [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이수경 기자 = 정부와 새누리당은 아이 돌봄 서비스를 내년에 2배 이상 확대하고, 초등 돌봄 서비스는 2020년까지 2만명을 추가 수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여가부에서 지원하는 아이 돌봄 서비스는 미취학 아동에 대해 시간제와 종일제 돌봄 서비스를 지원하고, 정부가 소득수준에 따라 지원금을 지급하는 서비스다. 또 교육부의 초등 돌봄 서비스는 맞벌이나 저소득층, 한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정규수업 이후에도 학교에서 돌봐주는 서비스를 뜻한다.
당 저출산대책특별위원회의 이주영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5차 저출산 대책 당정 협의를 열고 이처럼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 위원장은 회의 후 브리핑을 통해 "아이 돌봄 서비스의 수요가 많은 만큼 올해 825억원의 예산을 배정해 5만7000가구에 지원하는 것을 내년에는 두 배 이상 늘려 필요한 가정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정부에 강력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연말까지 임신과 출산 당시를 지원하는 국민행복카드로 아이 돌봄 서비스 결제도 가능하도록 할 전망이다.
아울러 당정은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은 학년 특성에 맞는 방과 후 학습 프로그램과 연계해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추진할 방침이다. 현재 고시로 지원하는 초등 돌봄 서비스를 초등교육법 개정 등을 통해 법률로 뒷받침해나간다는 설명이다.
이준식 부총리도 이날 회의에서 초등 돌봄 서비스에 대해 "돌봄이 꼭 필요한 1∼2학년 가정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2020년까지 2만명을 추가 수용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특위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된 교육과 보육과정의 관리체계를 통합하는 '유보통합'(유아교육과 보육교육 통합)의 현재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관리체계와 법령 일원화 방안을 올해 안으로 마련키로 했다. 각 시도 교육감에게 누리과정 예산의 조속한 편성도 촉구할 방침이다.
한편 특위는 오는 29일 황교안 국무총리와 경제, 사회부총리, 각 부처 장관은 물론 김무성 대표와 원유철 원내대표 등이 참석하는 확대 당정협의를 가지고 대책을 확정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