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북핵·경제활성화 쟁점법안' 이번 주 대국민담화 검토

[사진=청와대]



아주경제 주진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이번 주 초반 대국민 담화 등의 형식을 통해 북한 4차 핵실험에 대한 강력한 대응 의지를 밝히고, 경제활성화·노동개혁 관련 쟁점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를 호소하는 메시지를 국민들에게 직접 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10일 "아직 확정된 것은 없지만 대국민 담화의 가능성이 있다”며 “조만간 청와대 참모들의 의견을 모아 건의한 뒤 박 대통령이 구체적인 방안과 시기를 결심·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담화 시점은 업무보고가 시작되기 전인 12일이나 13일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통상적으로 신년 초에 연두 기자회견을 통해 국정운영 구상에 대해 설명해왔다. 지난해에는 1월 12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한 해 동안의 정국 구상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올해는 연초부터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안보위기와 대내외 경제위기감이 가중되는 만큼 집권 4년차 신년 국정 구상보다는 안보와 경제로 집약된 대국민 메시지를 먼저 전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담화 후 오는 14일부터 23일까지 부처별 업무보고를 받은 뒤 남북간 긴장 상황과 쟁점 법안의 임시국회 통과 여부를 지켜보면서 다음 달 설 연휴 전에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집권 4년차 국정 운영 구상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신년 기자회견의 경우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처음으로 '국민과의 대화' 형식을 도입하는 방안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다.

박 대통령은 특히 대국민 담화에서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국민 단합을 호소할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 주 경제계, 여성계, 교육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북한 4차 핵실험과 관련해 정부는 강력한 군사적 억지력을 바탕으로 만일의 사태에 대한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국민들도 정부를 믿고 차분하게 일상생활을 영위해 달라는 대국민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내놓은 바 있다.

박 대통령이 대국민담화에 나설 경우 대국민메시지는 이와 일맥상통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지난 6일 경제계 신년인사회에서 기업인들에게 올해 대내외적 여건이 만만치 않아 경제살리기가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북한발 리스크에도 흔들리지 말고 묵묵히 투자와 고용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주문한 바 있다.

정치권에는 북한 핵실험 이후 군사적 대치 우려 등을 강조하며 국회에 테러방지법, 북한인권법 제정안 등 핵심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거듭 촉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지난 6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한 자리에서도 "이럴 때일수록 나라가 안정을 유지하고 흔들림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어떤 대치 상황이 올지 모르므로 정치권에서는 모든 정쟁을 멈추고 국민의 안위를 위해 다같이 힘을 모아 주시기 바란다"고 촉구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