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 불황 한파에 쓰러지는 글로벌 기업들...한국 기업은 안전한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10-02 14:5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 = 중국신문사]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전 세계 철강업계에 불어 닥친 매서운 불황 한파 속에 굴지의 글로벌 기업들이 힘없이 쓰러지고 있다. 더딘 수요회복과 구조적 공급과잉, 전방산업 회복의 불확실성으로 야기된 경영난과 막대한 부채 부담을 떨쳐내지 못한 데 따른 것이다.

글로벌 철강업체의 이같은 존폐위기는 한국 업계에 또 다른 경고음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지속되는 불황 속에서 한국 철강사들의 저수익성이 고착화되고 재무안전성이 더욱 저하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최근 영국 철강업계는 경영적자 및 막대한 부채로 폐업위기에 내몰린 한 철강공장 소식에 들썩이고 있다. 태국 최대 열연강판 생산업체인 사하비리아스틸산업(SSI)이 보유하고 있는 영국 티스사이드(Teesside) 레드카 소재 제철소가 그 주인공이다.

영국 최대 규모의 철강공장인 이 제철소는 본래 유럽 2위 철강업체인 코러스(Corus)가 소유했던 것으로, 지난 2007년 코러스를 인수한 인도 타타그룹은 2011년 이 제철소를 SSI에게 4억6900만 달러에 매각했다. 이후 이 제철소는 슬래브 900만t의 생산능력을 자랑하며 태국을 중심으로 수출을 확대했으나 큰 수익을 내지 못하면서 오히려 부채만 키웠다. 

SSI 측은 최근 제철소 경영난으로 공장가동을 중단하고, 약 1700명의 직원을 정리해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2일(현지시간) 이 제철소를 관할하고 있는 영국법인에 대한 기업회생절차를 태국 법원에 신청했다. 이 제철소의 폐업은 향후 서플라이체인에 속한 수천 개 일자리가 사라지고, 미납금을 받지 못한 원자재 공급자들에게까지도 그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된다. 이에 SSI 측과 노동자들은 정부의 지원책 마련을 기대하고 있으나, 영국 정부는 유럽연합(EU) 규정 등을 이유로 공장 회생에 국가가 개입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못박은 상태다. 

중국 철강업계도 최근 대형 민영 철강기업 파산 소식에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현지 보도에 따르면 중국 산시(山西)성 최대이자 중국 2위의 민영 철강기업인 하이신강철(海鑫鋼鐵)은 최근 파산선고를 받았다. 과거 중국 철강산업 호황 속에 연간 철 생산량 500만t을 기록하며 산시성의 최대 규모 민영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한 하이신강철은 결국 경영난에 따른 부채 상환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파산의 길을 걷게 됐다.

지난해 7월 기준 하이신강철의 공식적인 부채는 104억5900만 위안(약 1조9430억원)으로, 당시 보유한 자산규모(100억6800만 위안)를 넘어섰다. 

이같은 상황 속에서 심각한 불황국면에 진입한 한국 철강 경기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짙어지고 있다. 현금창출력 저하와 함께 투자로 증대된 차입규모를 경감하지 못하면서 국내 철강사들의 전반적인 재무지표가 악화되고 있어서다. 

한국신용평가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산업을 '캡티브마켓'으로 두고 있는 현대제철을 제외하면 국내 철강사들의 2014년 수익성 및 재무안전성은 과거 대비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철강사의 부채비율도 소폭 증가했다. 한국신용평가가 발표한 '2015년 상반기 그룹분석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현대중공업과 포스코그룹 등의 부채비율은 각각 139.3%, 86.9%를 기록했다. 이는 두 기업의 지난해 상반기 부채비율인 129.0%, 86.8%와 비교해 각각 소폭 증가한 수치다. 

아울러 금융감독원은 올해 대기업 신용위험 정기평가를 통해 올해 구조조정 대상 대기업에 35개사가 선정됐고, 그 중 철강사는 지난해보다 무려 7곳이 늘어난 8곳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여기서 말하는 구조조정 대상은 금융권에서 빌린 돈이 500억원 이상이 넘는 대기업을 부실위험 순으로 분류한 A, B, C, D 네 등급 중 C와 D를 받은 기업을 지칭한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D등급을 받은 철강사는 하나도 없었지만 올해는 3곳이 D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업계 전문가는 "한국 철강업계가 전세계적 업계경기 침체, 중국 철강 과잉 공급 등으로 그 어느때보다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면서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 제품 및 프로세스 기술개발 등에 대한 지원 확대 등을 통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