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뒤늦게 주주명부폐쇄로 최대주주 변경을 확인했다고 알린 기업은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 등을 통틀어 6곳이다.
휴바이론은 임시주주총회를 위해 지난달 20일 주주명부를 폐쇄한 결과, 변경 전 최대주주인 범일인더스트리가 보유하고 있던 주식 400만주(발행주식 대비 8.52%)를 전량 매도한 것을 확인했다고 2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지난 3월 전 대표이사의 횡령·배임 혐의발생으로 상장폐지실질심사 대상에 포함된 상태다.
최근 2011 회계연도 감사인의 감사보고서상 감사의견이‘의견거절’임을 공시한 케이비물산도 이전 최대주주가 회사 몰래 지분을 팔았지만, 정기주주총회에 따른 주주명부 폐쇄 시까지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는 지난해 10월31일까지만 해도 김상현 사장이 5.17%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였지만, 지난달 3일에야 회사 측은 이 사실을 확인하고도 정확한 변경일자는 모른다고 주장했다.
전 최대주주였던 이준오 사장의 지분 매도를 3개월 동안이나 알지 못했던 폴리플러스도 최근 사업보고서를 제출하지 못해 상장폐지 당했다. 또 코아에스앤아이도 상장폐지실질심사가 진행되는 동안 최대주주가 회사 몰래 지분을 팔아 결국 상장폐지됐다.
상폐 결정에 앞서 개선 기간을 부여받고 있는 넷웨이브는 회사 몰래 지분을 판 최대주주 탓에 공시번복으로 상장폐지실질심사 대상에 올라 있다.
전문가들은 최대주주 교체는 기업 회생이 불가능할 때도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만큼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증권사 스몰캡 담당 연구원은 “최대주주 변경은 기업 경영의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투자에 중요한 척도가 된다”며 “특히 한계기업의 최대주주 변경은 부정적인 경우가 많은 만큼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