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개발공사 평가방법론'은 '공기업 평가방법론'을 모태로 하고 있어 기본적인 구성과 전개가 매우 유사하다. 다만, 지방개발공사의 경우 공기업 범주 내에서도 동질적인 산업특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과 세부 평가요인을 감안하여 평가방법론을 별도로 개발했다. 지방공기업인 지방개발공사에 대해서도 '공기업 평가방법론'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게 정부(지자체)와의 경상적 연계성을 반영하여 사업안정성, 수익성, 영업자산의 건전성, 재무안정성을 종합한 BCR분석 결과에 ‘유사시 정부(지자체) 지원가능성’ 평가요소를 고려하여 지방개발공사의 신용도를 평가했다.
한신평은 두 방법론간 주요 차이점으로 '지방개발공사 평가방법론'에서는 민간 건설업종과 유사한 지방개발공사의 특성을 고려하여 BCR분석 Factor에 '영업자산의 건전성'부문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그로 인해 '공기업 평가방법론'의 BCR분석은 3개 Factor, 13개의 세부 평가지표를 사용한 반면 '지방개발공사 평가방법론'에서는 4개 Factor, 15개의 세부 평가지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사시 정부의 지원가능성이 중요한 평가요소인 것은 '공기업 평가방법론'에서와 동일하지만, 여기서의 정부는 중앙정부 외에도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파악했다는 게 한신평 설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