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회장, 경영권 회복 '자갈밭 행보'

(아주경제 이재영 기자)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경영권 복귀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으나 의외의 복병이 많다.

6일 업계에 따르면 박삼구 회장의 금호산업 유상증자 참여에도 금호석유화학은 그룹 계열사인 금호산업 및 금호타이어에 대한 계열제외 관련 행정소송을 취하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금호산업 및 금호타이어의 그룹 계열을 인정한 것에 반발해 금호석유화학이 공정위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박삼구 회장과 아들 박세창 금호타이어 부사장이 금호산업 유증에 2200억원을 투입하지만 14.15%의 지분밖에 취득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빌미가 됐다. 현행법상 동일인 또는 동일인 관련자 지분이 30%를 넘어야 기업집단에 속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오는 19일 두 번째 심리를 치르게 됐다. 결과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금호석유화학이 승소하게 되면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가 그룹에서 분리됨에 따라 사실상 그룹은 해체된다. 그렇게 되면 채권단 관리를 받고 있는 두 계열사의 구조조정 향방이 복잡해질 수 있다. 특히 유증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금호타이어의 경우 더욱 불안정하다. 업계 관계자는 “채권단의 주된 목적은 투자회수인 만큼 구조조정 계획이 아직 구체화되지 않은 금호타이어의 경우 인수합병이나 매각 등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박삼구 회장은 손해를 감수하고 이번 유증에 참여했지만 결국 불안요소를 잠재우지 못한 셈이다. 박삼구 회장 부자의 지분이 14%에 그치는 데는 채권단이 시가대비 20% 할증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향후 균등감자가 진행되면 최소 500여억원을 잃게 된다.

14% 지분으로는 오너 지위를 누리기도 어렵다. 유증으로 감소하긴 했지만 여전히 70%대의 지분을 차지하고 있는 채권단에 의사결정권을 내줄 수밖에 없다.

다음 차례인 금호타이어 역시 같은 고민을 안고 있다. 박삼구 회장이 1100억원으로 유증에 참여해도 지분율은 10%에도 못미쳐 경영권 안정화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향후 지분을 늘려나갈 수 있지만 자금이 부족하다. 박삼구 회장이 아들과 함께 금호석유화학 지분 매각 대금으로 확보한 자금은 4059억원이다. 이 중 세금을 제외하면 3500억원 정도 남는다. 금호산업과 금호타이어 유증에 2200억원, 1100억원을 쓰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다.

불안요소는 더 있다. 박삼구 회장이 취득하게 되는 금호산업 지분은 채권단에 담보로 제공돼 곧장 금호산업 운영자금으로 쓰이게 된다. 자본잠식 상태인 금호산업이 회생되지 않으면 박삼구 회장의 투자금도 회수할 길이 없어진다는 얘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