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률·물가상승률, 주요 국제기구 전망과 크게 차이 없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7-01 10:0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박선미 기자)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GDP)을 4.5%, 물가상승률은 4%로 수정해 공식 발표했다. 이는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국내 주요 경제연구기관과 국제통화기금(IMF),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등 국제기구가 전망한 수치와 크게 다르지 않다.

30일 기획재정부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5%에서 0.5%포인트 낮춘 4.5%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 1~5월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이 4.3%에 육박하고 있고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인플레가 확산되고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즉 정부가 경제정책 방향을 ‘경제성장’에서 ‘물가안정’으로 돌렸다는 뜻이다.

이는 KDI가 지난달 22일 발표한 분석과 큰 차이가 없다. KDI는 세계 경기 회복과 수출 호조에 힘입어 우리나라가 잠재성장률 수준의 경제 성장을 이루겠지만,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 불안이 계속되면서 성장률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는 이날 물가상승률을 당초 3%대에서 4%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1%포인트 가량 높아진 수치다.

앞서 OECD도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각각 4.6%와 4.2%로 전망한 바 있다.

OECD는 긴축 기조에도 불구하고 수출 실적이 크게 증가하면서 올해 1분기 성장 모멘텀을 회복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OECD는 소비자물가상승률도 종전의 3.2%에서 1%포인트 높은 4.2%로 대폭 올려 잡았다. 또 인플레이션 압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과 환율 절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IMF가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4.5%, 물가상승률은 4.3%로 비슷한 전망치를 내놓은 바 있다. 수요 측면의 인플레 압력이 높고 경제성장률 또한 성장잠재력을 상회하고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