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 방향의 기류에서 유입되는 방사성 물질 역시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인체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미미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과 기상청 등은 오는 7일께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비롯된 방사성 물질이 한반도 남쪽을 돌아 우리나라에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고 4일 밝혔다.
김승배 기상청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7일 오전께 일본 지역 중심으로 고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지상 1~3㎞ 높이의 중층권 기류는 일본 동쪽에서 동중국해를 거쳐 시계방향으로 돌아 우리나라에 남서풍 형태로 유입되고 비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윤철호 KINS원장은 우리나라 쪽으로 부는 흐름이 있다고 해도, 후쿠시마에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은 주변 지역에서도 그 농도가 점점 옅어지고 있는 만큼, 역시 우리나라에 들어오더라도 극미량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원장은 “후쿠시마 원전 2호기의 원자로 내부 물질의 상당량이 유출돼 곧장 우리나라를 향해 날아와도 우리 국민이 받는 영향은 연간 허용 방사선량(1mSv)의 3분의 1 수준인 0.3mSv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노르웨이대기연구소(NILU) 시뮬레이션 결과와 관련 윤 원장은 시뮬레이션의 전제 조건은 후쿠시마 현지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이 체르노빌 사고 수준으로 연일 나오는 것이지만 현재 후쿠시마 주변 지역 도시의 방사능 수치는 계속 떨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