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재정위기의 4가지 시나리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글로벌 경제에 불안 요소로 꼽히는 유럽 재정위기를 두고 다양한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21일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진행 시나리오별 분석' 보고서를 통해 유럽 재정위기 전개 양상을 '최선'부터 '최악'까지 4가지 시나리오로 전망했다.

위기 수준별로 △'A시나리오'는 현 상태 유지 △'B시나리오'는 포르투갈에 대한 구제금융 △'C시나리오'는 인접국 스페인으로 위기전이 △'D시나리오'는 프랑스·이탈리아·벨기에·독일 등 중심국으로 번지는 상황으로 구분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이 중 포르투갈이 구제금융을 받는 B시나리오를 가장 현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포르투갈은 내년 4월과 6월 각각 40억∼50억 유로에 달하는 장기채의 만기가 돌아온다. 1∼3월 중에도 매월 30억∼40억 유로 안팎의 단기채가 만기도래한다. 결국 상반기에만 200억 유로에 가까운 채권을 상환해야 하는 포르투갈이 구제금융을 받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김위대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B시나리오가 발생할 경우 한국이 받는 영향은 크지 않겠으나 C시나리오의 가능성이 커지면 2008년 리먼 브러더스 파산 당시와 마찬가지로 신흥시장국에 대한 위험회피 심리가 퍼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국은행도 이 시나리오에 대해 B시나리오의 가능성이 크게 보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C시나리오의 발생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관측했다.

한은 관계자는 "포르투갈은 경제의 성장 잠재력이 낮은데다 정부의 재정 건전화 정책에 시장이 신뢰를 보이지 않고 있어 구제금융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며 "포르투갈이 구제금융을 받으면 또 다른 취약국인 스페인으로 유동성 위기가 전염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현재의 유럽국가들의 재정위기로 유로존 체제(16개국이 유로화를 단일 화폐로 사용하는 체제)가 힘을 잃고 각국이 자국 화폐를 다시 발행하는 중층적 형태를 띌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