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대형연구시설 구축지도’ 수립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9일 개최된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심의를 거쳐 우리나라 최초의 범정부 대형연구시설 중장기 로드맵인‘국가 대형연구시설 구축지도’를 확정했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대형연구시설 구축지도의 주요 내용은 오는 2025년까지 대형연구시설을 선진 7개국(G7) 수준으로 확충하기 위해 69개 중점 대형연구시설을 만들고 이중 5개 시설을 세계 1위 수준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 로드맵을 참조했으며 구축비용이 50억원을 넘는 규모의 시설 중 특수 이용 분야, 공동이용 가능성, 산업과의 연계성 등도 고려됐다.
 
교과부는 이번 구축지도 수립을 위해 지난해부터 224개 학회, 380개 대학 연구기관 및 관계부처, 산하기관 등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진행하고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전문위원회와 공청회 등 여러 차례 의견수렴 절차를 거쳤다.
 
중점 투자분야는 △주력 기간산업 기술 고도화(자동차ㆍ조선 등 13개) △신산업 창출 핵심기술개발(차세대 소프트웨어ㆍ암 진단치료 등 9개) △글로벌 이슈대응 연구개발(기후변화 대응 등 12개) △국가주도기술 핵심역량 강화(우주ㆍ항공 등 20개) △기초과학ㆍ융합기술 연구개발(가속기ㆍ지능형 로봇 등 15개) 등 5개다.
 
대형연구시설 구축을 위해 국가 R&D 예산의 3% 이상을 점증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도 마련됐고 대형연구시설 공동 활용촉진법 제정 검토 등 공동 활용촉진 방안도 포함시켰다.
 
정부는 향후 구축지도 수립에 참여한 교과부, 지식경제부 등 13개 부처를 중심으로 대형연구시설 관계부처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내년부터 ‘구축지도’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시 정부부처 투자 및 예산 배분을 위한 자료로 제공하고 대형연구시설의 예산편성, 예비타당성조사 등에도 활용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