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면수 기자) 한국인이 김치에서 하루 나트륨 1천200mg를 섭취하는 가운데 보건당국과 식품업계가 김치 저염화를 추진하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31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07년 우리나라 국민은 김치에서 하루 나트륨 1231.7mg을 섭취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의 김치를 통한 나트륨 섭취는 배추김치 910.2mg, 총각김치 167.0mg, 깍두기 53.8mg, 나박김치 36.7mg, 열무김치 33.3mg, 동치미 30.7mg이다.
이는 같은 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인 4553.0mg의 27%를 차지하는 수치로 나트륨 주요 급원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우리나라 국민의 나트륨 섭취량이 WHO의 나트륨 섭취 권고량 2000mg의 2.5배를 넘어서는 것을 감안할 때 전통음식인 김치가 고나트륨 식단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보건당국은 그런데도 김치가 우리나라 대표 전통음식일 뿐 아니라 발효에 따른 유산균과 풍부한 비타민, 캡사이신 등 몸에 좋은 성분을 함유한 건강음식이라는 점에서 저염화 정책을 추진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관계자는 "내달부터 본격 추진하는 '나트륨 저감화 2차 사업'에서 김치 보다는 국, 찌개를 저염화 우선식단으로 선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오늘날 냉장기술이 발달하면서 보관기간을 늘리기 위해 넣었던 소금을 덜 사용하고도 김치를 만들 수 있도록 장려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tearand76@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