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13년 넘게 모아야 아파트 한 채 장만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집값이 하락했다고 하지만 직장인들이 내집마련에 소요되는 기간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월급을 모아 33평(공급면적 109㎡) 규모의 아파트 한 채를 장만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은 1분기 12.9년에서 2분기 13.7년으로 더 늘어난 것이다. 집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실질소득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17일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8월 현재 서울의 109㎡ 규모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5억5872만원으로 3월 5억6948만원보다 1.9% 떨어졌다.

반면 통계청의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 실질소득도 1분기 369만원에서 339만원으로 8% 감소했다.

이에 따라 내집마련 기간도 1분기 12.9년에서 2분기 13.7년으로 10개월 가량 늘어나게 됐다.

가장 오랜 기간이 필요한 곳은 강남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의 8월 현재 109㎡ 평균 매매가는 10억5353만원으로 도시근로자의 소득만으로 집을 사기 위해서는 무려 25.9년이 필요했다.

이어 평균 매매가가 9억2956만원인 서초구가 22.9년, 용산구(평균 8억5780만원)와 송파구(평균 8억1244만원)는 각각 21.1년, 20년으로 분석됐다.

평균 매매가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된 금천구(3억3622만원)도 8.3년이나 걸렸다.

그러나 이는 지출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계산이다. 가계지출을 고려한다면 도시근로자가 월급으로만 서울에서 109㎡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진다.

2분기 기준 도시근로자의 가구당 월평균 가계지출은 272만 원으로 이를 소득에서 제외하면 남는 돈은 67만원에 불과하다.

이 돈을 모아 서울에서 109㎡ 아파트를 구입한다면 집값이 가장 싼 금천구의 경우에도 42년이 소요되며 강남구의 집을 사려면 무려 132년이 걸린다.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