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REACH 대응....생태위해성 평가 교육 실시

유럽연합(EU)의 강화된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무상으로 생태위해성 평가 교육을 실시하기로 했다.

생태위해성 평가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생한 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 정도를 분석하는 것으로, EU 등은 자신들의 지역에 수입되는 화학물질에 대해서 위해 평가 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환경부는 7일 국립환경과학원과 함께 오는 2월까지 기초교육 과정과 전문가교육과정을 각각 3차례, 2차례 실시한다고 밝혔다.

1차 기초과정 교육은 지난해 연말에 끝마쳤으며, 오는 12일부터 2차 기초교육이 실시된다.

이번 교육은 유럽의 REACH가 강화로 인해 우리 산업계의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다.

그동안 유럽의 생태위해성 평가 관련 지식은 소수 전문가들이 알고 있었을 뿐, 산업계나 정부의 이해도는 떨어졌다.

이 때문에 수출기업들은 EU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한 제출 자료 등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다.

정부는 단기간의 실습 교육을 통해 미국과 EU의 위해성 평가제도를 개괄하고, 관련 프로그램 사용법을 가르쳐준다는 계획이다.

교육 수료자는 올해 한국환경독성학회 교육인증위원회에서 실시 예정인 '생태위해성 평가사' 자격증 시험에서 가산점이 주어진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내외 화학물질 사용 증가와 관리 규제 강화로 화학물질에 대한 생태 독성 및 생태위해성 평가의 전문인력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생태위해성평가 = 위해성이라는 개념은 유해한 화학물질이 인간에게 얼마나 노출되는지 측정하는 것이다. 소량의 유해물질이라도 장기간 노출될 경우 인간과 환경에 더욱 유해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 '유해성'과 구별된다. 

위해성평가는 크게 건강위해성 평가와 생태위해성 평가로 나뉘는데, 생태위해성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발생한 화학물질이 생태계에 미치는 위해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유럽연합은 1월부터 신화학물질관리제도(REACH)를 통해 등록, 허가 받아야 하는 고위험성 물질을 15개 추가해 적용하고 있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