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전자담배가 담배사업법의 적용을 받으며 세금과 건강증진부담금도 부과된다.
25일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가족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최근 전자담배 관계부처 회의를 열고 니코틴을 함유한 전자식 담배 즉 전자담배를 담배사업법에 따라 관리하고 내년 3월부터 지방세와 건강증진부담금 등을 부과하는 내용의 ‘전자담배 관리체계 개선방안’을 확정했다.
지난해 11월 법제처가 ‘전자담배는 담배사업법에 따른 담배에 해당한다’는 유권 해석 결과에 따라 재정부와 행정안전부, 복지부, 환경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이 논의를 거쳐 이 같은 관리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전자담배는 담배로 분류되며 일반 담배와 마찬가지로 제조허가 또는 수입등록을 거쳐야 하고 지방세와 건강증진 부담금, 폐기물부담금도 부과된다. 또 타르가 포함된 일반 담배와는 차이가 있지만 각종 유독물질을 함유하고 있고 의존성도 있기 때문에 건강상 주의사항을 담은 경고문구도 부착된다.
특히 이번 방안으로 전자담배가 담배사업법의 관리를 본격적으로 받게 됨에 따라 무허가 제조나 미등록 수입전자담배가 단속되며 ‘금연보조제’를 사칭할 경우 식양청의 단속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늦어도 내년 3월부터 이 같은 내용을 시행키 위해 담배사업법을 비롯해 지방세법, 국민건강증진법, 자원절약·재활용촉진법 시행령 개정에 조만간 나설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복지부나 식약청은 전자담배의 안전성 평가를 거쳐 기준·규격을 마련키로 했다.
현재 국내에는 인터넷 판매업체 등 20여개 전자담배 업체가 성업 중인데 이중 10개는 금연보조제업체 또는 담배판매업체로 영업을 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등록이나 신고 없이 운영 중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전자담배도 담배와 마찬가지 중독성 물질인데도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며 “전자담배를 담배로 관리키로 한 만큼 허가나 등록 등 규제를 거치고 세금도 부과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