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새 대북 결의안 작업 착수"(종합)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25일(현지시간) 북한의 2차 핵실험과 관련, "명백한 안보리 결의 1718호 위반으로 강하게 반대하고 규탄한다"는 입장을 공식 발표했다.

순회 안보리 의장을 맡은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이날 안보리 긴급회의가 끝난 뒤 공식 발표문을 통해 강한 어조로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하면서 "안보리 회원국들은 이 사안에 대해 즉각적인 안보리 결의안 마련 작업에 착수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즉각적인 대북 결의안 마련 작업과 관련, 유엔 외교관들은 "법률적으로 구속력을 지닌 새로운 결의안 채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보리가 제재 논의를 착수하는 시점에서 의장이 공식 발표문을 통해 해당 국가를 강도 높게 비난하면서 결의안 작업 착수를 밝힌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추르킨 의장은 이날 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결정된 3개항의 발표문에서 "안보리 회원국들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strongly opposition)하고 규탄(condemnation)한다"며 "북한의 핵실험은 명백한 안보리 결의안 위반(clear violation)"이라고 규정했다.

발표문은 또 북한에 대해 "기존 결의안 1695, 1718호의 충실한 이행을 거듭 촉구한다"며 "다른 안보리 회원국들도 결의와 성명에 따른 의무를 이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두 결의안은 북한에 대해 추가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금지하는 동시에 조속히 6자회담의 틀로 복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 앞서 열린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과 한국.일본이 참여한 주요 이해관계국 회의(P5+2 회의)에서도 단호하고 신속한 대북 대응조치가 필요하다는데 회의 참석자들이 의견일치를 봤다고 박인국 유엔 대사가 밝혔다.

북한과 가까운 중국과 러시아 측도 같은 입장을 보였다고 박 대사는 전했다.

미국의 수전 라이스 대사는 회의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미국은 이 사안이 중대한 국제법 위반행위이자, 지역과 세계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며 "미국은 강력한 조치가 담긴 강력한 결의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라이스 대사는 15개 회원국들이 새 결의안 마련 작업을 26일부터 시작하는데 동의했다고 말했고, 다카스키 유키오(高須行雄) 주유엔 일본 대사는 "북한의 핵 실험은 전 세계를 향한 도발적 행동"이라면서 "안보리 내에서 현재 결의안 초안을 작성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지난달 북한의 로켓 발사 당시 미국과 일본은 안보리 결의안 채택을 강력히 주장했으나, 중국과 러시아 등의 반대로 한 단계 낮춘 의장성명을 채택한 바 있다.

안보리 의장인 추르킨 대사는 러시아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이번 사안은 안보리 결의뿐 아니라 핵 비확산 조약과 핵실험 금지조약을 위반한 것"이라면서 "매우 심각하며 강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도 이날 특별 성명을 통해 북한의 핵실험은 2006년 10월 1차 핵실험 이후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718호의 "명백하고 중대한 위반"이라며 안보리가 강력하고 일치된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