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하락…지금이 자원개발 최적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04-22 19: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공기업·민간업체, 사업확장·에너지 개발
정비지원도 한몫…해외투자·M&A 박차


배럴당 150달러에 육박했던 유가가 최근 50달러를 밑돌며 요동치고 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 속에 자원수요 감소로 가격 하락·투자 위축 등도 우려된다.

하지만 장기적 안목을 갖고 있는 자원개발 업체들에 있어 이러한 불안정은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유가급락에 원자재가격도 하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유가하락으로 광구 가격이 60%나 떨어진 지금이 자원개발의 최적기”라고 입을 모은다.
이웃 중국과 일본도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활용, 해외자원 개발 및 인수에 적극 나서고 있다.

바야흐로 ‘지구촌 자원전쟁’의 서막인 셈이다.

◆정부, 자원전쟁 ‘지원사격’

세계 자원개발 전쟁시대를 맞이해 우리 정부도 기업들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이미 지난해 8월 ‘에너지기본계획’ 발표 후 해외 자원개발을 국가적 사업으로 규정했다.

구체적으로 에너지공기업 대형화를 통한 해외 업체 인수합병(M&A), 생산광구 매입 등 대형 프로젝트 추진이 그것이다. 또 자원국과 정상외교를 통한 에너지자원 협력과 인력 기술 등 해외자원 인프라 확충 등에도 힘을 쏟을 전망이다.

하지만 에너지업체에선 “금융시장 불안, 환율 및 대출금리 상승 등으로 자금 조달이 어렵다”고 호소한다. 따라서 정부는 국책은행의 융자와 보증 등을 통해 약 5조원의 자금을 지원하는 등 투자재원 확충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이에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에너지공기업들을 비롯한 민간업체들의 에너지 확보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다.

공기업들은 지난해 5.7%였던 석유와 6대광물 자주개발율을 전년 대비 2% 이상 올린다는 계획이다. SK에너지 등 민간업체들의 투자도 증가추세다.

해외자원개발협회에 따르면 공사를 포함해 국내 기업의 올해 해외광물자원개발 투자는 20억5000만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공기업, 신규사업 투자·M&A 모색

올 들어 에너지공기업들은 선택과 집중을 통한 신규사업 투자와 공격적인 해외 자원개발 기업 인수합병(M&A)을 키워드로 삼고 ‘자원전쟁’에 임했다. 때마침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는 것도 크게 고무적이다. 

특히 한국광물공사와 한국가스공사는 광물과 가스 자주개발률 25% 달성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또 자원개발팀을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을 단행, 세계 기업들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자원 미개척지를 대상으로 사업권 확보와 자원개발업체 인수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광물공사는 자주개발률 14.6% 증대가 기대되는 몽골 타반톨고이(유연탄) 생산 프로젝트를 가동하고 있다. 가스공사는 최근 러시아 가스프롬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 2015년부터 연간 750만t의 러시아산 천연가스를 공급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석유공사는 자체적 기술을 통해 베트남 15-1광구개발·생산에 성공했다. 여기에 중동, 카자흐스탄, 캐나다, 콜롬비아 등에서 대형 광구개발 프로젝트도 가동 중이다.

이밖에 한국전력은 지난달 카자흐스탄 발하쉬 석탄화력(1200~1500MW)과 기본협약서를 체결하는 등 해외업체들에 대한 공격적 M&A를 추진하고 있다.

대한석탄공사의 경우 조직거대화를 위해 무연탄 수입 규모를 늘리는 한편 청정에너지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민간업체 자원개발 활발

민간업체들도 자원개발에 대한 장기적 전략을 세운 가운데 유망지역에 대한 투자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특히 국내 최대 자원개발업체 SK에너지는 21일 호주 북서부 해상에 위치한 WA-425-P, WA-431-P 등 2개 광구권의 유전탐사권을 따내는 개가를 올렸다.

SK에너지 관계자는 “올해 5000억원을 투자해 2015년까지 보유 원유 매장량을 10억 배럴까지 확대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포스코건설도 올 들어 활발히 자원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업체 중 하나다. 지난 14일에는 남동발전과 양해각서(MOU)를 체결, 2015년까지 3조6000억원을 투자해 조류발전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키로 했다. 

유전개발에 하루 정제능력의 10% 자체 조달 계획을 세운 GS칼텍스는 태국 등 동남아지역 외에도 중동, CIS 등 유망광구에 대한 추가 진출을 모색 중이다.

한화그룹은 플랜트 사업 등 기반 설비 설치, 해외 도시개발사업과 연계한 패키지형 자원개발 사업을 병행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밖에 대우인터내셔널은 미얀마 가스전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중국석유천연가스유한공사(CNPC)의 자회사 ‘CNUOC’에 2030년까지 판매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SK네트웍스는 수조원 규모의 중국, 인도네시아, 카자흐스탄 등 세계 20여개 광구에서 자원개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안광석 기자 novu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