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성장통 앓는 사모펀드] 모험자본 육성·혁신 유도 순기능··· 투자자 요건 강화로 피해 최소화해야 금융당국이 사모펀드로 인한 투자자 피해를 막기 위해 연이어 대책을 발표하는데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시장 위축이 우려된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사모펀드 발전과 함께 대체투자 활성화, 창업 기업 자금 조달 증가 등 순기능도 나타났던 만큼 균형을 갖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투자자 보호 필요하지만 시장 위축은 최소화해야 사모펀드를 통해 조성된 자금은 일반적으로는 투자하기 어려운 자산이나 잠재력이 큰 혁신 기업을 발굴하는 데 쓰인다. 불특정 다수가 아닌 위험을 감당할 수 있는 기관투자자나 고액 자산가들이 2020-07-09 06:00
-
[성장통 앓는 사모펀드] "섣부른 규제 완화가 불씨 키웠다"··· 사모펀드'본질' 고려한 개선안 필요 지난해부터 이어진 사모펀드발(發) 환매 연기 사태를 두고 섣부른 규제 완화 정책이 '불씨'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제도 개선안을 발표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뒤늦은 수습에 불과해 오히려 전체 사모펀드 시장의 위축을 부를 수 있다는 평가다. ◆운용사도, 투자자도 요건 완화··· 금감원 내부서도 '이러면 안된다' 지적 금융당국은 지난 2015년을 기점으로 사모펀드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해 왔다. 당시 금융위는 사모펀드 제도 전반을 손보며 전문투자형(한국형 헤지펀 2020-07-09 06:00
-
[영상] '600조 원 신도시' 사우디아라비아의 네옴시티(Neom city) 최신 근황은? 사우디아라비아의 600조 원 신도시 '네옴시티'는 과연 잘 지어지고 있을까? '네옴시티가 더 궁금해요!' 현재 네옴시티가 얼마나 지어졌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기업이 건설에 얼마나 많이 참여하고 있는지 등이 알고 싶다는 댓글이 있었습니다. 이에 아주경제 포스트 코로나 특별취재팀이 추가 취재를 통해 답변을 준비했습니다. 우리나라 기업 관계자에게 묻고, 외신을 파헤치고, 사우디의 최신 자료를 조사해 네옴시티의 현 상황을 그려봤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네옴시티에 대해 좀 더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한 2020-07-09 00:30
-
저축은행, 7월 둘째 주 가장 높은 적금 금리는 ‘연 6.9%’ 7월 둘째 주 저축은행 적금 상품 금리는 전주 대비 소폭 내려간 흐름을 보였다. 다만, 최고 우대금리는 6.9%로 전주와 동일했다. 8일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한눈에’에 따르면, DB저축은행의 '드림빅 정기적금'은 기본 금리 3.1%에서 우대 금리 3,8%를 더해 총 6.9%의 금리를 제공한다. 우대 금리를 받으려면, 적금 가입 이후부터 만기 30일 이전까지 'DB손해보험 다이렉트 인터넷 자동차 보험'에 인터넷으로 가입한 뒤 유지해야 한다. 웰컴저축은행의 ‘웰뱅하자 정기적금&rsquo 2020-07-08 17:15
-
[도로 위 고령운전자] ② 운전면허 박탈 NO...정확한 인지능력 판별이 관건 고령 운전자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 연령에 따라 운전면허를 일괄적으로 박탈하는 안이 나왔지만 이는 좋은 방법이 아니라는 것이 중론이다. 대신 인지 능력 관리와 사고 위험성 등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진단해 그 결과에 따라 면허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은다. 구체적인 기준 정립도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고령 운전자의 운전 적합성 여부를 판정하는 수시 적성검사에서 운전자의 생계와 민원 등을 고려해 높은 비율로 합격 판정을 내리거나, 판정 유예를 내리는 2020-07-08 08:00
-
[저축은행 M&A 본격화] ②금융당국, 저축은행 사태 '트라우마'…M&A 규제 완화 '머뭇' 잇따라 저축은행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정작 인수·합병(M&A)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는 금융당국은 마땅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저축은행 간 M&A 규제를 완화하면 과거 솔로몬저축은행과 부산저축은행 사태가 다시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저축은행 발전방안 TF'를 재가동했지만 M&A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구체적인 규제완화 대책을 확정하지는 못했다"며 2020-07-08 08:00
-
[상반기 결산] ③ 코로나19 속 韓 남녀 프로골프 상반기 결산 한국여자오픈에서 우승한 유소연 지난 3월 12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범유행) 선언으로 전 세계 골프대회가 도미노처럼 쓰러졌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남녀 골프협회가 주관하는 한국프로골프(KPGA) 코리안투어와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도 예외는 아니었다. 잠잠하던 지난 5월 14일 제42회 KLPGA 챔피언십이 열렸다. 이 대회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전 세계에서 최초로 열리는 골프대회였다. 국내외 매체들의 취재 열기가 뜨거웠다. KLPGA는 지금까지 7개 대회를 소화했다. 반면 KPGA 2020-07-08 08:00
-
[도로 위 고령운전자] ① 매년 사고 늘고 치사율도 높아..."현 제도 미흡"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고령 운전자에 의한 교통사고가 사회 문제로 부각하고 있다. 해마다 고령 운전자의 교통사고가 늘고 있는 데다 치사율도 높다. 8일 국회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5%다. 이는 세계 평균인 9%를 크게 웃돈다. 고령자가 많은 만큼 고령운전자도 많다. 65세 미만 운전자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2016년(105만3627건), 2017년(102만7501건), 2018년(98만5495건으로 줄어드는 반면,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는 같은 기간 8만6304건, 11만5674 2020-07-08 08:00
-
[상반기 주식결산] 외국인에 운 코스피 개미에 웃은 코스닥 동학개미와 외국인은 올해 상반기 저마다 코스닥을 끌어올리고, 코스피를 끌어내렸다. 주식시장에서 개인·외국인이 공방을 벌이면서 거래대금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불어났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지난 6월 말 종가 기준 2108.33로 올해 들어 4.07%(89.34포인트) 하락한 반면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는 737.97로 10.17%(68.14포인트) 상승했다. 투자자별로 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올해 상반기 주식시장에서 줄기차가 돈을 뺐다. 올해 상반기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팔아치 2020-07-08 08:00
-
[저축은행 M&A 본격화] ①저축은행 10곳 중 1곳 매물 시장 나와 코로나19 등으로 지역경기가 침체되고 금융당국의 규제완화가 늦어지면서 지역 주요 거점 저축은행이 속속 매물로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자산 규모 1조원이 넘는 JT저축은행이 매물로 나왔다. 중견 저축은행들도 잠재적 인수자 찾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저축은행 간 인수·합병(M&A) 규제가 완화 되지 않으면 저축은행들이 새 주인을 찾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10여곳의 저축은행이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전국 저축은행 79개인 점을 감안하면 국내 2020-07-08 08:00
-
[아주경제 코이너스 브리핑] 블록체인 특허출원 50배 급증 外 △블록체인 특허출원 50배 급증 블록체인 관련 특허출원이 최근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7일 특허청에 따르면, 블록체인 관련 국내 특허출원은 2015년 24건에서 지난해 1301건으로 50배 이상 급증했다. 2015∼2019년 5년간 출원인은 중소기업(1580건, 54%), 개인(483건, 16.4%), 대학·연구소(378건, 12.9%), 외국 법인(237건, 8.1%), 대기업(233건, 8%), 기타(17건, 0.6%) 순이다. 주요 기술별로 보면 인증·보안 기술(614건, 21%), 핀테크 관련 기술(573건, 19.6%), 자산관리 기술(405건, 13. 2020-07-08 07:48
-
“2G·3G 접고 5G로”... 전 세계 통신업계는 네트워크 교체 중 글로벌 통신업계가 2G에 이어 3G 서비스 종료 수순을 밟고 있다. 2G와 3G 서비스를 유지하는 비용을 줄이고, 이들 서비스의 기반인 주파수를 5G에 활용해 생태계 활성화에 힘을 싣기 위해서다. 하지만, 한국은 3G는커녕 2G 서비스 종료 계획을 올해 들어 겨우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2G망을 유지하는 비용이 상당한 만큼, 조속히 서비스를 종료하고 5G 망 투자에 집중해야 소비자들에게 더 많은 편익이 돌아갈 수 있다고 지적한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과 일본, 중국 이동통신사들은 2G와 2020-07-07 16:13
-
[화요명상] '빗으로 빚을 덜게 되면 빛이 비친다' 다석 류영모의 ‘빛·빚·빗’ '빗으로 빗어 모든 빚이 없어지고 또다시 빛나는 세상이 될 때 빛드러진(비뚤어진) 세상은 바른 세상이 된다' - 다석 류영모 다석 류영모는 '빚'과 '빗'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통찰을 남겼습니다. 돈을 갚지 않아 생기는 부채와 머리카락을 정리하는 도구. 이와 같은 피상적인 정의에서 진리를 발견한 것입니다. '빛 빚 빗' 삼단논법을 통해 진정한 얼빛으로 향할 수 있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2020-07-07 15:26
-
5월 경상수지 22억9000달러 흑자…코로나 충격에 흑자 폭은 ‘반토막’ (종합) 5월 경상수지가 흑자로 재전환했다. 지난 4월 기록했던 ‘적자 충격’에서는 한 달 만에 벗어난 셈이다. 그러나 흑자 규모가 전년 대비 반토막났고, 특히 수출의 감소폭이 커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다만 한국은행은 앞서 제시한 ‘연간 경상수지’ 전망치는 충분히 달성이 가능할 거란 전망을 내놨다. 7일 한은이 발표한 ‘2020년 5월 국제수지 잠정치’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22억9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5월(51억8000만 달러) 대비 흑 2020-07-07 13:15
-
독도 '바다사막화' 막아라...'둥근성게' 생태계 개선 사업 해조류를 먹고 사는 둥근성게, 감태와 대황 등 독도에서 볼 수 있는 해양생태계를 되살리기 위한 사업이 지난해 이어 올해에도 시행된다. 정부는 올해 바다가 하얗게 변해가며 해조류가 사라지는 '갯녹음' 현상 방지에 주력할 방침이다. 7일 해양수산부와 해양환경공단, 한국수산자원공단 등에 따르면 갯녹음으로부터 독도의 해조숲을 보호하고 해양생물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도 독도 주변 해역의 해양생태계 개선사업을 시행한다. 최근 독도 주변 해역은 둥근성게가 과도하게 증식해 해조류가 사라지고, 석회조류가 확 2020-07-07 11:39
-
농촌 휴가 할인받고 가세요...7월 7일 '도농교류의 날' 지원 풍성 7월 7일 도시와 농촌 간 만남을 주선하는 '도농 교류의 날'을 맞아 올여름에는 농촌으로 여행을 떠나 보는 건 어떨까. 7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힘들고, 지친 도시민들이 코로나19 청정 지역인 농촌을 여행하며 마음의 여유를 찾을 수 있도록 '농촌으로 여행 가기' 캠페인을 진행하기로 했다. 캠페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도시민들에게 농촌으로 여행 가기 리플릿, '농촌여행 웰촌' 팸플릿 등 농촌여행 관련 홍보물과 기념물을 배부할 예정이다. 또 유동인구가 많은 지 2020-07-07 11:35
-
[진화하는 OTT] ③ 틱톡 "이제는 SNS 아닌 OTT라 불러주세요" 틱톡이 지난해 선보인 인터렉티브 드라마 '틱톡 소개팅 Do you Like Me?'. 모바일 동영상 시장이 커지는 가운데 글로벌 소셜미디어 플랫폼 틱톡이 최근 OTT 플랫폼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댓글과 '좋아요'라는 참여 기능을 드라마 콘텐츠에 접목해, 콘텐츠 특유의 몰입감과 소셜미디어의 소통 기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 전략이다. 글로벌 쇼트 비디어 앱 틱톡은 tvN과 공동제작한 숏폼 웹드라마 트랩(TRAP)을 오는 10일 첫 공개한다고 밝혔다. 트랩은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2020-07-07 08:05
-
[진화하는 OTT] ② "경험을 팝니다" 국내 OTT의 차별화 전략 최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서비스마다 차별화를 꾀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타 플랫폼에서는 제공되지 않는 콘텐츠로 눈길을 끌거나, 실시간 채팅과 같은 타사에는 없는 기능으로 이용자에게 색다른 경험을 제공한다. KT가 운영하는 OTT 서비스 시즌(Seezn)에는 동영상을 보며 출연자들과 직접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채팅 기능이 탑재됐다. OTT에 소셜미디어(SNS) 기능을 포함한 건 국내에서 시즌이 유일하다. 기존 OTT 서비스에서는 이용자가 수동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는 보는 데 그쳤다면, KT 시즌에서는 이용자끼리 혹은 2020-07-07 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