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뉴스
-
[NNA] 캄보디아, 상반기 GDP 성장률 5.9% 캄보디아국립은행(중앙은행)은 올해 상반기(1~6월)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5.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제조업·관광업·농업이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크메르타임즈(온라인)가 보도했다. 상반기 물가상승률은 3.5%. 연료 관련 재화와 서비스 가격은 하락했으나, 식료품과 근원 인플레이션(신선식품·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은 상승했다. 자국 통화 리엘은 달러 대비 1.6% 절상돼 평균 환율은 1달러당 4011리엘(약 147엔)이었다. 국제수지는 2억 755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며, 특히 금융수지 흑자 2025-08-15 12:01
-
[NNA] 타타車, 2분기 매출 순이익 모두 감소 인도 자동차 제조사 타타모터스는 2025년 2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5% 감소한 1조 379만 루피(약 1조 7650억 엔), 순이익이 62.7% 줄어든 392억 4000만 루피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판매량 감소와 주력 자회사인 영국 재규어·랜드로버(JLR)의 수익성 악화가 맞물리면서 매출과 이익이 모두 줄었다. 매출액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상용차가 4.7% 줄어든 1700억 루피, 승용차가 8.2% 감소한 1087억 루피, JLR(국제회계기준=IFRS)이 9.2% 줄어든 66억 파운드(약 1조 3000억 엔)였다. 상용차 부문은 판매 감소를 비용 절감으로 2025-08-15 11:47
-
[NNA] 뱀부항공, 떤선녓 공항 신터미널로 이전 베트남의 신생 항공사 뱀부항공은 오는 18일부터 호찌민시 떤선녓 국제공항에서 운항하는 모든 국내선의 발착지를 새로 개장한 제3여객터미널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정식 이전을 결정한 항공사는 국영 베트남항공에 이어 두 번째다. 뚜오이째 온라인이 보도했다. 제3터미널은 지난 4월 개장했다. 당초 두 번째 이전 항공사는 저가항공사(LCC)인 비엣젯항공이 될 것으로 전망됐었다. 떤선녓 국제공항은 제1·제3터미널이 국내선, 제2터미널이 국제선 전용이다. 뱀부항공은 현재 제1터미널에서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다. 뱀부 2025-08-15 11:11
-
[NNA] 中 7월 코로나19 감염자 22만명… 감소세 나타내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에 따르면 올해 7월 중국 전역에서 확인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는 22만6567명으로 집계됐다. 2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연초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7월 중 코로나19 중증 환자는 219명, 사망자는 2명이었다. 올해 1~7월 누적 확진자는 128만 1435명이며, 중증 환자는 1935명, 사망자는 38명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감염자는 3월 이후 뚜렷하게 증가해 5월에는 44만 662명으로 올해 최저치였던 2월(2만2966명)보다 19배로 확대됐다. 6월의 감염자 수는 33만 3229명. 질병예방통제 2025-08-15 10:43
-
[NNA] 싱가포르 NUS-NTU, 연구기기 공유하기로 싱가포르국립대(NUS)는 난양(南洋)이공대(NTU)와 고가 연구장비 및 시설을 공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양 대학 연구자들은 수백만 싱가포르달러 규모의 최첨단 연구 인프라를 공동 활용, 과학 연구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으로 NUS 소속 연구자들은 NTU가 보유한 최신형 3차원 원자 프로브 장치 ‘Invizo 60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 장치는 재료를 원자 수준에서 3D로 이미징하고 화학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 세계에 7대만 존재하고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에서는 NTU가 유일하게 보유 2025-08-14 16:34
-
[NNA] 필리핀 보라카이섬, 입도 절차 통합 시스템 도입 필리핀 관광부 서부 비사야국은 관광지인 보라카이 섬(아클란주) 입도 절차를 통합하는 온라인 티켓 판매 및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시스템은 세부주를 거점으로 연료 판매와 인프라 개발을 담당하는 톱라인 비즈니스 디벨롭먼트의 IT 부문인 톱라인 하이테크 앤 시너지와 현지 자치단체가 참여한 민관협력(PPP) 사업으로 개발됐다. 시스템 명칭은 ‘렛츠고 보라카이(Let’s Go Boracay)’이며, 현지 매체 마닐라 불렛틴에 따르면, 개발비는 1억 5000만 페소(약 3억 8600만 엔). 보라카이의 관 2025-08-14 16:26
-
[NNA] 현대車 印尼법인, 스타게이저 카르텐즈 양산 개시 현대자동차의 인도네시아 생산법인인 현대 모터 매뉴팩처링 인도네시아(HMMI)가 다목적차(MPV) ‘스타게이저 카르텐즈’와 MPV 크로스오버 ‘스타게이저 카르텐즈 X’의 양산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두 모델에 대해서는 글로벌 시장 수출도 계획하고 있다. 이번에 출시된 두 차량은 인도네시아 시장 전용으로 개발된 ‘스타게이저’를 개량한 모델이다. 지난달 24일부터 8월 3일까지 자카르타 외곽에서 개최된 ‘가이킨도 인도네시아 국제오토쇼(GIIAS) 2025’에서 처음 공개됐다. 차명 & 2025-08-14 16:12
-
[NNA] 하노이 메트로, 상반기 순이익 3배↑ 하노이 도시철도 운영사인 하노이 메트로의 올해 상반기(1~6월)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배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VN 익스프레스 보도에 따르면, 상반기 순이익은 약 100억 동(약 5620만 엔)으로, 이는 2022년 한 해 순이익의 4배에 달하며 2023년 연간 실적에 근접한 수준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5배 늘어난 3932억 동을 기록했다. 다만, 이 가운데 승차권 수입과 정부 보조금의 구체적 비중은 공개되지 않았다. 매출총이익은 28% 감소한 21억 동 수준에 머물렀다. 예금 잔액은 1조 2030억 동이며, 금융수익은 은행 이 2025-08-14 15:41
-
[NNA] 中 SMIC, 2분기 순이익 20%↓… 하반기 반등? 중국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제조) 기업인 SMIC(中芯国際集成電路製造)는 올해 2분기(4~6월)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9.5% 줄어든 1억 3248만 달러(약 195억 2400만 엔)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구개발(R&D) 비용을 비롯한 각종 비용 증가가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29.5% 감소했다. 다만 회사 측은 올 하반기에는 매출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6.2% 늘어난 22억 906만 달러였으며, 전 분기 대비로는 1.7% 줄었다. 매출총이익률은 전년 동기보다 6.5%포인트 오른 20.4%를 기록했 2025-08-14 15:16
-
[NNA] 대만 UMC, 7월 매출 2개월 만에 감소…전년比 4.1%↓ 대만의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기업인 UMC(聯華電子)는 올해 7월 연결 매출액이 200억 4005만 대만달러(약 985억 엔)로 전년 동월 대비 4.1%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매출 감소는 두 달 만이다. 전월 대비로는 6.5% 증가했다. 올 1~7월 누적 매출은 1366억 5666만 대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3% 늘었다. UMC는 7월 말 실적설명회에서 올해 3분기(7~9월)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13%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환율이 불리하게 작용해 대만달러 기준 매출은 오히려 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2025-08-14 14:58
-
[NNA] 태국 7월 외국인 관광객 16% 감소…중국발 감소세 '6개월째' 태국 관광체육부는 지난 7월 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이 261만 36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5.9% 감소했다고 밝혔다. 급감한 중국인 관광객 수가 여전히 회복되지 않는 등 외국인 유입은 6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국가·지역별로는 중국이 42만 770명으로 38.9% 줄었지만 여전히 1위를 차지했다. 뒤이어 말레이시아가 35만 8287명으로 16.3% 감소했다. 한편 인도는 18만 9303명으로 19.3% 늘었다. 일본은 7만 4717명으로 1.2% 감소해 9위였다. 올해 1~7월 누적 외국인 관광객 수는 1929만 5835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2025-08-14 14:50
-
[NNA] 싱가포르·영국 투자단체, 디지털 자산 시스템에 합류 싱가포르와 영국의 투자관리 단체가 싱가포르 금융관리청(MAS·중앙은행에 해당)이 추진 중인 ‘프로젝트 가디언(Project Guardian)’에 합류한다. 이 프로젝트는 자산 토큰화를 통해 금융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거래 효율을 제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단체의 참여로 디지털 자산 분야의 국제 협력과 혁신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번에 합류하는 곳은 싱가포르투자관리협회(IMAS)와 영국투자협회(IA). 두 단체는 자국 내 거래 단체와 자산관리 전문 단체가 동시에 참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히며 2025-08-14 14:23
-
[NNA] 페트로에너지, 북일로코스 해상풍력 '설비 심사' 통과 필리핀 자원개발기업 페트로에너지 리소시스(PERC)는 루손섬 북일로코스 주에서 추진 중인 해상풍력 발전사업이 필리핀 전국송전공사(NGCP)의 설비 심사(FS)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사 통과로 국가 전력망 연결을 위한 절차가 한 단계 더 진전됐다. PERC는 재생에너지 자회사인 페트로그린 에너지와 덴마크의 코펜하겐 에너지(CE)가 설립한 합작사 ‘부하윈드 에너지 노던루손(BENLC)’을 통해 설비용량 200만k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소를 건설하고 있다. 전국송전공사는 신규 발전소를 전력망에 연결하기 전 &ls 2025-08-14 14:14
-
[NNA] 말레이시아 민간항공국, 보잉과 KLIA 교통 관리 말레이시아 민간항공국(CAAM)은 쿠알라룸푸르국제공항(KLIA)의 항공 교통 관리 개선을 위해 미국 보잉사와 제휴관계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항공기 조종사와 관제사 간 연계를 효율화하고, 항공사에 더 나은 비행 경로 제안을 통해 공항의 진입·착륙 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로 인해 항공사는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고, 항공편 지연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양측은 KLIA의 현재 운영 상황을 조사하고, 항공 교통 개선을 위한 새로운 운영 계획을 수립했다. 해당 계획은 향후 말레 2025-08-13 14:32
-
[NNA] LCC 인디고, 벵갈루루 공항 정비시설 착공 인도의 저비용항공사(LCC) 인디고는 남부 카르나타카주 벵갈루루 켐페고우다 국제공항의 MRO(정비·수리·분해) 시설 건설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2028년 초 가동을 목표로 하며, 기술자를 포함해 1000명 이상 고용할 계획이다. 이번 MRO 시설은 31에이커(약 12만 5000㎡) 부지에 들어서며, 델리와 벵갈루루에 있는 기존 MRO 시설을 합친 규모의 3배에 달한다. 최대 12대의 항공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으며, 단일 통로형(나로우바디)과 이중 통로형(와이드바디) 기종 모두의 정비가 가능하다. 인디고는 지난 5월 공 2025-08-13 14:01
-
[NNA] B2B형 수출 EC 푸틸, 베트남 진출 한국의 기업 간 거래(B2B)형 식품 수출 전자상거래(EC) 플랫폼 ‘푸딜(Foodil)’이 베트남에서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뚜오이째 온라인이 보도했다. 푸딜은 현재 미국·멕시코·유럽·아프리카·중동 등 35개국 이상에 바이어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내 운영은 현지 기업 LNS그룹이 맡는다. 동 플랫폼은 식품 안전 인증 취득 지원, 세무 절차, 결제 수단 마련 등 수출에 필요한 각종 절차에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여준다. 이를 통해 이용 기업은 제품당 미국 시장 진출 비용을 2025-08-13 13:39
-
[NNA] 中 상반기 엔터테인먼트 수입 13%↑ 중국의 이벤트 업계 단체인 중국연출행업협회(中国演出行業協会)에 따르면, 음악 공연과 연극 등을 포함한 올해 상반기 엔터테인먼트 이벤트의 흥행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2.7% 증가한 54억 200만 위안(약 1100억 엔)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대극 등 연극 공연에 더해, ‘토크쇼(脫口秀)’로 불리는 스탠드업 코미디의 인기가 급상승하며 전체 실적을 끌어올렸다. 이 기간 개최된 이벤트는 29.9% 늘어난 16만 500건이었다. 관객 수(연인원)는 20.7% 증가해 약 2055만 명에 달했다. 연극 공연 횟수는 16% 증가했 2025-08-13 13:26
-
[NNA] 日 이데미츠코산, 탄소배출권 창출 필리핀에 출자 일본의 석유화학 기업 이데미츠코산(出光興産)과 환경 스타트업 그린카본은 필리핀 북부 루손섬 이사벨라주에서 추진하는 탄소배출권 창출 프로젝트의 사업화 검증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데미츠코산은 동 프로젝트에 출자하고, 그린카본은 사업화를 위한 검증 작업을 맡는다. 사업화 시점은 2026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데미츠코산의 투자 규모와 지분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다. 사업화를 통해 발생하는 탄소배출권은 ‘양국 간 크레딧 제도(JCM)’에 따라 필리핀과 일본에 배분된다. 일본 배분분 가운데 이데미 2025-08-13 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