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속보] 푸틴 트럼프와 우크라 안전보장 합의
    [속보] 푸틴 "트럼프와 우크라 안전보장 합의" 푸틴 "트럼프와 우크라 안전보장 합의" 2025-08-16 08:04
  • [속보] 푸틴 트럼프와 건설적 대화 나눠
    [속보] 푸틴 "트럼프와 건설적 대화 나눠" 푸틴 "트럼프와 건설적 대화 나눠" 2025-08-16 08:01
  • [속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뒤 공동기자회견 시작
    [속보]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뒤 공동기자회견 시작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뒤 공동기자회견 시작 2025-08-16 07:57
  • [속보] 러, 트럼프·푸틴 회담에 놀라울 정도로 잘 진행
    [속보] 러, 트럼프·푸틴 회담에 "놀라울 정도로 잘 진행" 러, 트럼프·푸틴 회담에 "놀라울 정도로 잘 진행" 2025-08-16 07:49
  •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종료…곧 공동기자회견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종료…곧 공동기자회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3대3 형식의 정상회담을 마무리하고, 곧 공동기자회견을 발표할 예정이다.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16일(한국시간) 크렘린궁이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알래스카 최대 도시인 앵커리지 북부 엘먼토프-리처드슨 합동 기지에서 3시간 가까이 진행된 회담을 마쳤다는 발표를 했다고 보도했다. 아울러 크렘린궁은 곧바로 공동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회담은 당초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1대1 회담으로 계획됐으나, 3대3 회 2025-08-16 07:46
  • [속보] 크렘린 푸틴, 트럼프와 곧 공동 기자회견 진행
    [속보] 크렘린 "푸틴, 트럼프와 곧 공동 기자회견 진행" 크렘린 "푸틴, 트럼프와 곧 공동 기자회견 진행" 2025-08-16 07:28
  • [속보] 트럼프-푸틴, 3대3 회담 종료…확대회담 전망
    [속보] 트럼프-푸틴, 3대3 회담 종료…확대회담 전망 트럼프-푸틴, 3대3 회담 종료…확대회담 전망 2025-08-16 07:27
  • 트럼프 러 점령지 푸틴과 영토재획정 논의하지만, 우크라가 결정할 것
    트럼프 "러 점령지 푸틴과 영토재획정 논의하지만, 우크라가 결정할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미국과 유럽이 우크라이나에 안전보장을 제공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다만 영토재획정 문제는 우크라이나가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전용기 내에서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안전보장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문에 "아마도 유럽 및 다른 나라들과 함께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2025-08-16 06:14
  • 6년 만에 만난 트럼프·푸틴…우크라전 휴전 논의 돌입
    6년 만에 만난 트럼프·푸틴…'우크라전 휴전' 논의 돌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6년 만에 만나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은 정상회담에 앞서 16일(한국시간) 미 알래스카주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서 만났다. 트럼프 대통령이 탑승한 전용기가 먼저 도착했고, 30여분 뒤 푸틴 대통령의 전용기도 합동기지에 착륙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활주로에 깔린 붉은색 카펫 위에서 기다리다, 푸틴 대통령이 다가오자 손뼉을 치며 맞이했다. 두 정상은 서로 악수하는 등 반가워했다. 두 정상 2025-08-16 05:29
  • 트럼프 내주 반도체 관세 결정…초기에는 낮을 것
    트럼프 "내주 반도체 관세 결정…초기에는 낮을 것"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는 다음 주에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6일(한국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미·러 정상회담을 위해 알래스카로 향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어포스원) 내에서 취재진에게 "나는 아직 관세를 설정하지 않았다. 반도체 관세는 다음 주 중 어느 시점에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국에) 들어와 (공장을) 짓는 기회를 주기 위해 초기에는 낮을 것"이라면서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2025-08-16 04:55
  • [속보] 트럼프, 푸틴과 알래스카서 정상회담 시작
    [속보] 트럼프, 푸틴과 알래스카서 정상회담 시작 트럼프, 푸틴과 알래스카서 정상회담 시작 2025-08-16 04:43
  • 中 7월 소매판매·산업생산 시장치 밑돌아…계절 요인에 부진
    中 7월 소매판매·산업생산 시장치 밑돌아…계절 요인에 '부진' 중국의 지난달 소매판매와 산업생산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7월 소매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3.7% 증가해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4.6%)에 못 미쳤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내수 경기 가늠자인 소매판매가 전망치를 밑돈 이유는 폭염·홍수 등 계절 요인과 '이구환신(以舊換新·노후 제품 교체 지원)' 보조금 공백이 소비 회복에 제동을 건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생산도 5.7% 늘어 예상치(5.9%)를 소폭 하회했다. 1~7월 고정 2025-08-15 15:16
  • 美국무부 北, 폭력·강압으로 국가통제 유지
    美국무부 "北, 폭력·강압으로 국가통제 유지" 미국 국무부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발표한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이 폭력과 강압으로 국가통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무부는 12일(현지시간) 공개한 ‘2024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북한에 대해 “북한 정부는 사형, 신체 학대, 강제 실종, 집단 처벌을 포함한 만행과 강압을 통해 국가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지난해 4년 6개월 주기로 이뤄지는 유엔의 국가별정례인권검토(UPR) 수검 당시 ‘반국가 범죄자’에 대한 구 2025-08-13 15:56
  • 美인권보고서에 MBC 날씨예보 파랑색 1 처벌 언급
    美인권보고서에 "MBC 날씨예보 '파랑색 1' 처벌" 언급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 후 처음으로 낸 국가별 인권 보고서에 윤석열 정부의 MBC 날씨 예보 징계, 의대 정원 증원 갈등 등이 언급됐다. 미 국무부는 12일(현지시간) ‘2024 국가별 인권보고서’에서 “독립된 언론, 효율적 사법부, 제대로 작동하는 민주적 정치 시스템이 표현의 자유를 촉진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국무부는 “그럼에도 정부는 국가보안법과 기타 법률, 헌법 조항의 해석 및 시행으로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고 인터넷을 통한 접근을 제한했다”고 주 2025-08-13 10:02
  • 북한 해커 컴퓨터 해킹해 보니…韓 정부·기업 침투 흔적 포착
    "북한 해커 컴퓨터 해킹해 보니…韓 정부·기업 침투 흔적 포착" 북한이 해킹을 통해 가상자산 등 외화 확보에 나서는 가운데, 북한 해커가 실제 사용하는 컴퓨터를 해킹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2일(현지시간) 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세이버(Saber)’와 ‘사이보그(cyb0rg)’라는 이름을 쓰는 두 해커가 북한 해커의 작업용 컴퓨터에 침투해 확보한 내용을 사이버보안 전자잡지 ‘프랙(Phrack)’ 최신호에 게재했다. 두 해커는 ‘김(Kim)’으로 지칭한 해커의 워크스테이션을 해킹했다며, 해당 장비에는 가상머신(VM)과 가상 2025-08-13 08:46
  • 미 피츠버그 인근 US스틸 공장서 폭발…최소 2명 사망
    미 피츠버그 인근 US스틸 공장서 폭발…최소 2명 사망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시 인근의 US스틸 코크스 공장에서 폭발이 일어나 최소 2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쳤다고 AP통신 등 외신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오전 10시 51분경 피츠버그 외곽 클레어튼의 코크스 공장에서 인근 건물이 흔들릴 정도의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다. 사고가 난 클레어튼 코크스 공장은 인근 US스틸의 펜실베이니아주 공장과 인디애나주 공장에 공급하는 코크스를 제조하는 시설이다. 이 제조시설은 US스틸의 몬 밸리 공장의 일부로, US스틸을 인수하는 일본제철이 20억 달 2025-08-12 16:45
  • 인도, 미국 F-35·러시아 Su-57 전투기 구매 검토
    인도, 미국 F-35·러시아 Su-57 전투기 구매 검토 인도 공군은 미국 록히드 마틴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와 러시아 최신형 스텔스 전투기 수호이(Su)-57 구매를 검토 중이라고 현지 매체 타임스오브인디아 등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현재 인도 공군은 편대당 전투기 16~18대로 구성된 31개 편대를 보유 중이며 이 가운데 옛 소련 전투기인 미그-21이 전부 다음 달 퇴역함에 따라 편대 수는 29개로 줄어들 예정이다. 인도 공군은 최상의 전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41개 전투기 편대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은 2035년까지 자체 개 2025-08-12 16:11
  • 트럼프, 中 사회주의와 유사한 국가자본주의 체제로 나아가
    "트럼프, 中 사회주의와 유사한 '국가자본주의' 체제로 나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본주의의 본산인 미국을 중국의 사회주의와 유사한 ‘국가자본주의’ 체제로 전환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패권 경쟁자인 중국의 고속 성장 모델이 배경으로 작용했다는 진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시간) ‘미국식 국가자본주의로 향하는 미국’이라는 제목의 분석 기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집권 이후 정책과 조치를 집중 조명했다. WSJ이 ‘미국식 국가자본주의’의 사례로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로 확보한 1조5000억 2025-08-12 1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