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주요 관광지들이 외국인 관광객 급증으로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의 폐해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커지고, 관광 명소들의 훼손이 잇따르는 오버투어리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CNN은 1일(현지시간)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일부 유럽 지역에서 발생한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 현상이 아시아로까지 번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시아태평양관광협회(PAT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일본과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 지역의 관광객 수는 전년 대비 20%나 급증했다. 동남아시아 역시 같은 기간 베트남의 외국인 관광객이 21% 늘어나는 등 급증세를 보였다.
요미우리신문의 설문에 따르면 교토 시민의 90%가 오버투어리즘에 불만을 표시했으며.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이 신사나 사찰 등 종교시설에서 무례한 행동을 하는 데 대해 불만이 집중됐다.
이에 따라 교토시는 지난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은 기온 지역에서 무단 촬영을 금지하고 호텔과 여관 투숙자에게 부과하는 숙박세 상한액을 기존 1000엔(약 9300원)에서 1만엔(약 9만3000원)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시구로 유스케 훗카이도대 교수는 "일본은 전통적으로 보수적인 나라"라며 "외국인이 전체 인구의 3분의 1에 이르면 균형이 무너졌다고 느끼게 된다"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의 발리도 마찬가지다. 발리의 사원에서 옷을 벗고 사진을 찍거나 헬멧 없이 오토바이를 타는 외국인 관광객들의 무례한 행동이 현지인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다.
태국은 외국 관광객이 약 6% 감소했지만, 푸껫 같은 유명 관광지는 여전히 인파로 가득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최근 푸껫 당국은 교통 체증과 인프라 부족 등 주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필리핀의 경우 지난 2018년 환경 회복을 목적으로 보라카이 섬을 6개월간 폐쇄하고, 재개장 이후엔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무허가 숙소를 금지했지만, 여전히 규정을 무시하는 관광객이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