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재 양천구청장은 지난 25일 넓은들 미래교육센터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지역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신월권 균형 발전에 집중한 결과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양천구 서쪽에 위치한 신월동의 총면적은 약 4.9㎢로, 구 전체 인구의 28%인 약 12만명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공항소음으로 인한 피해 대상이 4만30여가구로, 이는 김포공항으로 소음피해를 입는 전체 지역의 과반을 넘는 수준(51.3%)이다.
구는 민선 8기 이후 공항소음 피해를 호소하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 피해는 우리가 직접 챙긴다'는 원칙 아래 실질적인 자구책을 마련해 실행에 옮겼다. 재산세 구세 감면 조치가 대표적이다. 구는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양천구 구세 감면 조례'를 개정, 2023년 7월부터 공항소음대책지역 내 1세대 1주택자 주민의 재산세(구세분)를 최대 60% 감면하고 있다.
근본적인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주택매입보상(이주대책)'도 병행되고 있다. 한국공항공사가 소음대책지역 내 주택을 매입해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를 지원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29가구가 매입 완료됐다.
이 구청장은 "주민 체감도를 높이는 보상책 마련을 위해 현실 물가를 반영한 전기료 지원액 인상, 냉방기 설치 현금 지원 전환 등을 정부와 지속 협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 개관한 '신월평생학습센터'는 요리·원예·공예 등 생활 밀착형 기술교육을 제공하며 신월동 주민들의 평생학습 참여 기회를 확대했다.
'신월문화예술센터'는 전통문화·음악·건강·교양 등 주민 중심의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 '넓은들미래교육센터' 조성으로 권역별 미래교육센터 구축을 완성해 청소년들이 가까운 생활권에서 미래핵심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오래된 주거지의 도시정비사업도 속도가 나고 있다. 지난 8월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3149세대 규모 대단지 재건축이 본격화된 '신월시영아파트'가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신월7동 공공·민간 재개발, 신월5동 77번지 일대 공공재개발, 신월1·3동 모아타운 등 주요 재개발 사업도 탄력이 붙은 상황이다.
공공인프라 역시 개선되고 있다. 신월동 주민들의 또 다른 숙원인 첫 지하철역 신설도 지난 9월 국토부가 '대장홍대선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함에 따라 착공을 앞두고 있다. 대장홍대선은 부천 대장 지구에서 출발해 양천구 신월동을 거쳐 마포구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지하철역 없이 교통소외지역에 머물던 신월동의 교통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전망이다.
올해 3월 문을 연 '양천구 보건소 별관' 역시 만성질환관리, 재활치료 등 필수 공공의료 기능을 신월·신정권 중심에 배치함으로써 생활권 보건복지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이 구청장은 서울시에 집중된 자치분권의 한계점을 구조적 한계로 꼽았다.
그는 “주민 여가공간 하나 조성하는 데도 문턱이 너무 높다”면서 "지방자치 30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서울시가 권한을 너무 움켜쥐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중앙정부에 '권한 이양’을 요구하고 있는데, 서울시 권한부터 자치구에 먼저 이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