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내년 1.8% 성장 전망…경상수지 흑자 1300억弗 달할 듯

  • 한은, 수정경제전망서 상향 조정

  • 경제성장률 올해 1.0%·내년 1.8%

  • 물가상승률 올해 2.1%·내년 2.1%

  • 경상수지 흑자 올해 1150억弗·내년 1300억弗

2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사진한국은행
27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올해와 내년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0%, 1.8%로 상향 조정했다.

한은은 27일 발표한 올해 마지막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제시했다. 지난 8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높였다. 지난 3분기 성장률 속보치가 1.2%로, 한은의 기존 전망치(1.1%)보다 높게 나온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은은 올해 연간 전망치를 2023년 11월(2.3%) 이후 지난해 5월(2.1%), 11월(1.9%), 올해 2월(1.5%), 5월(0.8%) 지속해서 낮추다가 8월(0.9%)부터 다시 높여왔다. 이번 한은 전망치는 한국금융연구원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제시한 1.0%와 같고, 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통화기금(IMF)이 제시한 0.9%보다 높다.

성장률 상향 조정의 가장 큰 요인은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증가다. 한은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1.3%, 설비투자 증가율을 2.6%로 각각 전망했다. 지난 8월 전망보다 민간소비는 0.1%포인트 낮아졌고, 설비투자는 0.1%포인트 높아졌다. 

재화수출은 2.5%에서 2.9%로, 재화수입은 1.8%에서 2.3%로 각각 높아졌다. 반면 건설투자는 -8.3%에서 -8.7%로 전망치가 더 나빠졌다.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를 기존 1100억 달러에서 1150억 달러로 높였다. 내년 흑자 규모도 13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다 국제 유가가 안정되면서 교역 조건이 개선된 점을 반영해 기존보다 450억 달러나 상향했다. 

한은은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8%로 상향 조정했다. 잠재성장률(약 1.8%) 수준을 회복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한은은 내년 전망치를 2024년 11월 1.8%로 처음 제시한 뒤 올해 5월 1.6%로 낮췄다가 이번에 다시 1.8%로 높여 잡았다. 이는 정부, KDI, IMF가 각각 제시한 1.8%와 같고, 한국금융연구원(2.1%)이나 OECD(2.2%)보다는 낮은 수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부문의 성장세는 견조한 반면 관세 영향이 큰 부문과 지방중소기업 등에서는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부적으로 내년 비(非) IT 부문 성장률을 1.4% 정도로 보고 있다"며 "이는 잠재성장률 아래여서 경제성장세에 착시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2027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로 이날 처음 제시했다. 지난해 2.0%에서 올해 1.0%로 성장률이 반토막 난 뒤 내년(1.8%), 내후년(1.9%)까지 3년 연속 1%대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은은 인공지능(AI) 붐이 유지되면서 반도체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 경우 내년과 내후년 성장률이 전망치보다 각각 0.2%포인트, 0.3%포인트 더 높아지며 2%대에 올라설 수 있다는 시나리오도 함께 제시했다. 반대로 AI 버블이 꺼지면서 반도체 수요가 정체될 경우 내년 0.1%포인트, 내후년 0.3%포인트씩 성장률이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올해와 내년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0%에서 2.1%로, 1.9%에서 2.1%로 각각 높였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문에서 "물가상승률이 국제유가 안정세에도 불구하고 높아진 환율, 내수 회복세 등의 영향으로 지난 전망 경로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