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시진핑과 통화 후 日에 "대만 발언 수위 낮춰라" 조언

  • 미·중 무역 휴전·대만 문제 얽히자...트럼프, 동맹국에도 '신중 메시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FP·연합뉴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일본의 대만 관련 발언에 격앙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에게 발언 수위를 조절하라고 조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중 무역 휴전과 대만 문제의 긴장이 맞물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동맹국에도 신중한 메시지를 보낸 사례로 해석된다.

26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주석과 통화 이후 다카이치 총리에게 대만 문제로 중국을 자극하지 말라고 조언했다고 알려졌다. 다만, 발언을 철회하라고 압박하지는 않았다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앞서 시진핑 주석은 지난 24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약 30분간 전화통화한 가운데 대만에 대한 중국의 역사적 영유권을 강조하면서, 미·중이 글로벌 질서 유지를 위해 공동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과 통화 이후 다카이치 총리와 전화통화를 주선해 진행했다.

이와 관련해 익명의 일본 관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체결한 미·중 무역 완화 조치가 대만 문제로 흔들리는 상황을 원치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국회 연설에서 중국의 대만 공격 시 일본이 군대를 배치할 수 있다고 언급해 중국의 격한 반발을 불러일으켜 중국과 일본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후 기자들에게 다카이치와 "훌륭한 대화"를 나눴다며 "우리는 매우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녀는 매우 똑똑하고 강인하다. 훌륭한 지도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악관은 WSJ에 보낸 트럼프 대통령의 성명을 통해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매우 좋으며 이는 일본에도 유익하다"며 "시진핑 주석은 콩과 기타 농산물 구매를 크게 늘릴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일본, 중국, 한국과 훌륭한 무역 협정을 체결했고 세계는 평화를 누리고 있다. 그 상태를 유지하자!"고 말했다.

WSJ는 이번 사건이 미·중 관계의 새로운 현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무역 휴전과 대만 문제는 서로 떼기 어려우며 미국은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되 이를 지지하지 않는 기존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은 대만이 무력으로 굴복하지 않도록 방어 무기 제공을 지속해 왔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아시아 전문가로 활동하기도 했던 매튜 굿먼 외교관계위원회(CFR) 지리경제학 연구원은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일본 지도자들과 모두 통화하는 것은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면서도 "하지만 통화 순서가 흥미롭고 일본의 눈살을 찌푸리게 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한편 미·중 정상은 이번 통화에서 무역에 대해 논의했다고 백악관의 익명의 관계자가 밝혔다. 미국은 중국이 약속한 미국산 대두 구매가 지연되는 데 대해 우려하고 있었고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좀 더 빨리 구매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 주석이 거의 그렇게 하기로 동의했다"고도 공개했다.

실제로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인 25일 약 3억 달러(약 4400억원) 규모의 미국산 대두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미·중 무역전쟁 이후 사실상 중단됐던 미국산 대두 수입이 지난달 부산에서 열린 정상회담 이후 재개된 데 이어 추가 구매를 약속한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