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1시경 우주로 향한다. 주탑재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3호(중형 3호)를 포함한 정부, 연구기관, 기업이 포함된 총 13개 위성이 실린다. 이번 발사를 계기로 민간 주도 우주 생태계가 본격 열릴 전망이다.
26일 우주항공청(우주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 따르면 누리호의 4차 발사는 27일 오전 0시 55분(잠정) 진행한다. 누리호가 새벽에 발사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누리호의 이번 주된 임무는 태양동기궤도인 고도 600㎞에 중형 3호와 큐브위성 12기를 올려 놓는 것이다.
이를 위해 누리호는 전날(25일) 오전 9시 무인특수이동차량(트랜스포터)에 실려 나로우주센터 내 발사대 종합조립동으로 향했다.
약 1.8㎞ 거리지만 이동 중 작은 충격에도 부품에 치명적일 수 있어 누리호는 1시간 42분에 걸쳐 천천히 발사대로 향했다. 같은 날 오후 1시 35분 발사대에 기립해 고정 작업을 마쳤다.
준비 작업도 현재 진행 중이다. 전날 밤 강풍주의보로 미뤄졌던 유공압 엄빌리컬 연결과 기밀 점검은 이날 오전 모두 완료됐다. 우주청과 항우연은 이날 오전 11시 5분 발사대에 누리호를 설치하는 작업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후 일정도 숨가쁘게 진행된다. 누리호는 이날 오후 6시까지 발사대 발사 운용 준비와 점검을 실시한다.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는 산화제·연료 충전 준비 및 점검, 이어 오후 10시부터 12시까지는 산화제·연료를 충전한다.
발사 시각 확정을 위한 발사관리위원회는 이날 오후 7시 30분에 열린다. 약 45분 뒤인 오후 8시 15분에 윤영빈 우주청장이 최종 발사 시각을 발표한다.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 누리호는 이륙 후 약 125초 뒤, 고도 63.4㎞에서 1단을 분리한다. 페어링 분리는 발사 후 234초 이후 고도 201㎞ 지점에서, 2단 분리는 발사 후 272초 고도 257㎞ 지점에서 이뤄진다.
누리호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중형 3호가 궤도에 안착하느냐에 있다. 중형 3호는 발사 후 807초 후 분리된다. 중형 3호가 성공적으로 궤도에 안착한다면 1년 이상 오로라와 대기가 스스로 빛나는 현상인 대기광, 우주 플라스마와 자기장 등 우주 환경을 관측하는 임무를 진행한다.
중형 3호 분리 이후 세종대·쿼터니언, 우주로테크·코스모웍스, 코스모웍스·인하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한컴인스페이스, 서울대·스페이스린텍,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항우연 위성 순으로 총 12개의 큐브 위성이 누리호에서 순차적으로 사출된다.
1284초의 비행을 마친 누리호는 임무 종료 후 대기권에 재진입해 소멸한다. 우주청은 발사 약 1시간 20분 후 누리호 발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 시간은 새벽 2시 30분 전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변수는 바람이다. 과거 누리호 2차 발사 당시 초속 약 10m의 바람이 불면서 발사가 하루 연기된 바 있다. 지상 평균 풍속이 초속 15m 이상이거나 순간 최대 풍속이 초속 21m 이상이면 발사를 미뤄야 한다.
우주청과 항우연은 기상청의 도움을 받아 날씨도 현재 지속 모니터링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우주청은 기상 관측용 풍선을 띄워 고공풍을 확인한다.
이번 발사는 제작 책임 주체가 민간으로 넘어갔다는 점에서도 상징적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누리호 제작을 총괄했다. 3차 발사보다 늘어난 32명의 인력을 투입해 총조립 작업에 함께했다.
항우연은 이번을 계기로 민간 중심 우주 산업 생태계를 본격 구축할 방침이다.
이날 발사 현장에는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윤영빈 우주청장, 우주청·항우연 연구진이 참석해 누리호의 임무 성공을 지켜볼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