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팀)이 '종묘 차담회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장상윤 전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을 25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했다.
장 전 수석은 이날 오전 9시 55분께 특검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출석했다.
특검팀은 종묘 차담회 의혹의 핵심 인물인 신수진 전 대통령실 문화체육비서관의 상급자였던 장 전 수석에게 신 전 비서관으로부터 보고받은 내용 등을 조사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할 예정이다.
해당 의혹은 김 여사가 2023년 9월 3일 종묘 망묘루에서 외부인들과 차담회를 가지면서 국가 유산을 사적으로 이용했다는 게 골자다.
신 전 비서관이 이끈 문화체육비서관실은 당시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에 종묘 개방을 요청하고, 차담회 전날 사전 답사를 거쳐 김 여사의 동선을 짠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신 전 비서관은 지난달 참고인 조사를 받은 후 지난 4일 직권남용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돼 11시간가량 조사 받은 바 있다.
특검팀은 이날 장 전 수석에게 '대통령실 비서관 자녀 학교폭력 무마 의혹'에 관해서도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김 여사가 2023년 7월 측근인 김승희 전 의전비서관 자녀의 학폭 사건을 무마하려고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내용이다.
당시 성남의 한 초등학교 3학년이었던 김 전 비서관의 딸은 학교 화장실에서 두 차례 같은 학교 2학년 여학생을 폭행, 상해를 입혔다.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학폭위)는 그해 10월 김 전 비서관 딸에 대해 출석정지 10일, 학급 교체 등을 통보하면서도 강제전학 처분은 하지 않았다.
학폭위는 고의성, 심각성, 지속성 등 5개 지표에서 16점 이상으로 평가하면 강제전학 처분을 내리는데, 김 전 비서관 딸은 1점 모자란 15점을 받아 강제전학을 면한 것이다.
그런데 김 여사가 사건 발생 직후인 2023년 7월 20일 교육부 차관이던 장 전 수석과 8분여 간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 김 여사가 학폭위 결정에 영향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장 전 수석은 지난달 30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 여사와 통화한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학폭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부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