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한반도 문제, 美승인 기다리는 관료적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어"

  •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 축사

  • "남북 단절 7년, 개미 새끼 한 마리 오지 못해"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미국의 승인과 결재를 기다리는 관료적 사고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한반도 문제의 특성"이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이날 통일부가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연 '한반도 평화경제 미래비전 국제세미나' 축사에서 1998년 11월 김대중 정부가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도 금강산 관광 첫 출항 일정을 그대로 진행한 일화를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당시 금창리 지하 핵시설 의혹이 제기된 상황 속에서 미국은 금강산 관광 일정 조정을 기대했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은 출항 일정을 유지했다.

정 장관은 이를 두고 "(한반도 문제의) 자기중심성, 자기결정권을 강조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남과 북의 단절이 7년"이라며 "2018년 12월 체육회담을 끝으로 2025년 11월까지 만 7년 동안 개미 새끼 한 마리 오지 못하는 완전한 단절 시대를 목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중국과 대만의 교류가 중국의 영토평정 위협 속에서도 그 질과 양이 깊고 넓어지고 있다며 남북 교류가 전면 중단된 현실과 비교했다.

그러면서 "불일불이(不一不二), 하나도 둘도 아닌 상태, 그 속에서도 할 수 있는 것은 평화경제의 길"이라며 "2026년에는 한반도 평화공존, 화해협력의 신(新)원년이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