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전남바이오진흥원은 그린바이오육성지구 지정을 위한 공모사업 준비에 속도를 내며, 전남 그린바이오 산업의 체계적인 성장 기반 구축에 본격 나서고 있다.
이번 공모는 미래 농생명·바이오 산업을 지역의 신성장 축으로 육성하기 위한 국가 전략 사업으로, 진흥원은 첫 단계로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을 본격 추진한다.
표준화 허브는 전남 장흥 바이오식품산업단지 내 1만 6466㎡ 부지에 총 350억 원 규모로 조성된다. 3층 규모의 전문 연구시설과 다양한 천연물 자원의 시범 재배가 가능한 테스트베드(Test-bed)가 들어설 예정이며, 계약재배–분석–검증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 체계를 한 공간에서 구현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진흥원은 24일 전남개발공사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표준화 허브 조성의 핵심인 건축·시설 조성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부지 조성, 시설 건립, 인허가 협력 등 기반 구축 단계부터 공동 대응하기로 하였으며, 이는 사업 추진의 안정성과 실행력을 높이는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전남은 풍부한 농생명 자원과 천연물 기반 산업의 강점을 보유하고 있어, 관련 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와 시장 확대를 위해 표준화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평가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이번 허브는 지역 기업의 기술 진입장벽을 낮추고, 국내외 인증·규격 대응 역량을 높이는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이와 함께, 진흥원은 나주 지역에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를 조성해 그린바이오 스타트업 발굴·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벤처캠퍼스는 창업공간, 실험실, 사업화 지원 인프라 등을 갖춘 복합형 창업보육 시설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초기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제공할 예정이다.
전남바이오진흥원은 장흥·나주·순천·곡성 권역을 연계한 산업 생태계 조성 전략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지역 전반에 걸친 그린바이오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그린바이오육성지구 지정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윤효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은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는 전남 그린바이오 산업 경쟁력을 한단계 끌어올릴 핵심 인프라”라며 “연구·창업·사업화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생태계가 구축되면 전남이 국내 그린바이오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남바이오진흥원은 앞으로도 지역 자원과 산업 특성을 반영한 전략 사업을 발굴해, 그린바이오 분야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모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