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부동산 중개·분석업체 집토스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0·15 대책으로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추가된 서울 21개 구와 경기도 12개 시·구의 시행 전후 평균 아파트 전세 가격이 대책 시행 전보다 각각 2.8%, 2.0% 올랐다.
'삼중 규제'가 모두 시행된 지난달 20일을 기준으로, 대책 시행 전(9.20∼10.19)과 시행 후(10.20∼11.19) 각각 한 달간을 기준으로 동일 단지·동일 면적에서 각 1건 이상 전세 계약이 체결된 아파트(1층 이하는 제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집토스는 같은 방식으로 10·15대책 시행 이후 한 달간 규제지역·토허구역으로 편입된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률(1.2%)을 분석한 바 있다.
서울 종로구 숭인동 롯데캐슬천지인 전용면적 111.73㎡는 지난달 24일 7억7250만원(3층)에 전세 계약이 체결되며 해당 면적 신고가를 썼다. 서울 양천구 목동 부영3차 전용 95.99㎡는 지난 7일 12억원(18층)의 신고가에 전세 계약이 이뤄졌다. 약 5개월 새 2억원 오른 것이다.
10·15 대책으로 갭투자가 원천 차단되면서 전세 매물이 급감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강남권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는 대책 발표 이후 전셋값이 2.7%나 상승했다.
이재윤 집토스 대표는 "매매 시장을 잡기 위한 고강도 규제가 오히려 임대차 시장의 수급 균형을 무너뜨려 전세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며 "신규 전세 물건 품귀 현상을 해소할 퇴로가 열리지 않는 한, 서울 주요 지역의 전세난과 가격 상승세는 장기화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