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이경실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번 논쟁은 난각번호 4번 달걀 한 판에 1만5000원이고 1, 2번 달걀보다 가격이 높다는 것 때문에 시작된 것"이라며 "일반적으로 4번 달걀 30구가 1만 5000원인 것은 비싼 것이 맞지만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떤 달걀보다 월등히 품질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자신이 운영 중인 달걀 '우아란'의 판매가격 기준이 난각번호가 아닌 호우유니트(HU)라고 설명하면서 "우아란의 HU는 매주 측정하며 시중에서 판매하는 1등급란 기준보다 무려 47% 신선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달걀의 품질등급은 +1, 1, 2, 3등급으로 최종 판정한다. 난각에 표기된 1, 2, 3, 4번은 사육환경이며 달걀의 품질 등급과는 무관하다"며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이유는 사육 환경이 아닌 원료와 사육 방식의 차이"이라 전했다.
또 "4번이라서 무조건 저품질이 아니라 4번 사육 환경이라도 품질 차이가 크게 날 수 있다는 점이 소비자에게 설명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가족뿐 아니라 친지, 지인들도 함께 먹는 요즘, 품질 하나만큼은 첫 마음 그대로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경실이 판매하는 달걀의 난각번호가 4번임에도 다른 달걀보다 비싼 가격으로 판매돼 논란이 일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