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국제투자대조표'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말 기준 우리나라 대외 금융자산(대외투자)은 2조7976억 달러로 집계됐다. 2분기 말(2조6818억 달러)보다 1158억 달러 많은 사상 최대 규모다.
특히 대외금융자산 가운데 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2140억 달러)가 한 분기 사이 890억 달러(지분증권 +814억달러·부채성증권 +76억달러) 불어 다시 한번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직접투자(잔액 8135억 달러) 역시 이차전지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87억달러 늘었다.
대외금융부채(외국인 국내투자·1조7414억 달러)도 900억 달러 늘었다. 비(非)거주자의 증권투자(잔액 1조1395억 달러)가 885억 달러(지분증권 +896억 달러·부채성증권 -11억 달러) 늘며 주도했다. 직접투자(잔액 3135억달러)는 37억 달러 줄었다.
임인혁 한은 국외투자통계팀장은 "대외금융자산은 해외직접투자와 증권투자가 모두 확대되고 미 증시도 호조를 보인데다 준비자산도 늘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대외금융부채의 경우에는 거래요인 측면에서 직접투자 및 증권투자가 확대되고 비거래요인측면에서 국내주가도 상당폭 상승했으나 원화약세가 부채평가 확대를 일부 제약하며 대외금융자산 증가액보다 적은 900억 달러 증가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 엔화, 유로화 등 기타통화는 약세를 보이므로 기타통화 약세로 인해 대외금융자산이 줄어들게 된다. 반면, 국제투자대조표는 달러 표기로 통계를 집계하기 때문에 원화가 약세를 보이면 대외금융부채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한은은 4분기 순대외금융자산의 핵심 변수로 19일(현지시간) 발표되는 엔비디아 실적과 다음 달 10일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꼽았다.
임 팀장은 "중장기적으로는 경상수지가 흑자인 만큼 순대외자산이 늘어나겠지만 단기적으로는 엔비디아 실적이 'IT 과잉투자' 우려에 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실적에 따라 우리 주식 순매수 흐름이 달라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는 "대외부채측면에선 원·달러 환율이 1460원 보합권에서 움직이며 9월대비 상승세인 데다 외국인 순매수 흐름이 순매도로 전환됐기 때문에 감소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