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엔비디아 3분기(8~10월) 실적 발표를 하루 앞두고 기술주 중심으로 동반 하락했다. 인공지능(AI) 거품 논란과 기업 실적 부진, 금리 인하 불확실성이 겹치며 위험자산 회피가 커졌다는 분석이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98.50포인트(1.07%) 내린 4만6091.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전장보다 55.09포인트(0.83%) 하락한 6617.32, 나스닥 종합지수는 275.23포인트(1.21%) 밀린 2만2432.85에 장을 마쳤다. 다우존스와 S&P 500지수는 이날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했고, 나스닥도 2거래일째 내렸다.
AI 거품 우려가 기술주 전반에 압박을 가했다. 구글 최고경영자(CEO)인 순다르 피차이는 AI 거품이 터질 때 구글은 타격을 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면역이 있을 회사는 없다고 생각하며 이것은 구글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여기에 미국 유통업체 홈디포가 올해 조정 주당순이익(EPS) 감소폭을 기존(-2%)보다 큰 -5%로 제시하면서 투자 심리를 더욱 냉각시켰다.
홈디포의 실적 전망과 노동시장 둔화 우려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이날 민간 고용업체 ADP에 따르면 지난 1일로 끝난 4주 동안 미국의 민간 고용 예비치는 주당 평균 2500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직전 주 수치(-1만4250명) 대비로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다.
체이스 인베스트먼트 카운슬의 피터 터즈 사장은 "상당히 가파른 하락을 보고 있다"면서 "홈디포의 전망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쳤고, 사람들은 내일 나올 엔비디아 실적 숫자에 대해 불편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12월 정책금리 인하 가능성도 빠르게 낮아지는 모습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FFR) 선물시장은 연준이 오는 12월 금리 25bp(bp=0.01%) 인하할 가능성을 50.6%로 반영했다. 일주일 전(66.9%) 대비 16.3%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업종별로 보면 에너지(0.61%), 헬스케어(0.54%), 부동산(0.36%), 필수 소비재(0.15%), 커뮤니케이션(0.11%)은 상승했다. 반면, 임의 소비재(-2.50%)와 기술(-1.68%), 산업재(-0.48%) 등은 부진했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MS)는 각각 2.81%, 2.70% 하락했다. 엔비디아와 MS는 이날 AI 모델 개발사 앤트로픽에 150억달러(약 22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가 100억달러, MS가 50억달러다.
테슬라(-1.88%)와 아마존(-4.43%), 팔란티어 테크놀로지(-2.29%)도 후퇴했다.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알파벳A)은 목표가 상향 영향으로 0.26% 하락했고, 애플도 중국 아이폰 17 판매 급증(전년 대비 37%) 소식에 큰 폭의 하락을 피하며 0.01% 하락에 그쳤다.
홈디포는 실적 전망 하향에 6.02% 급락했다. 반면 사우디아라비아의 F-35 전투기 구매 소식에 록히드마틴은 구매한다고 하자 0.84% 상승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 대비 2.31포인트(10.32%) 급등한 24.69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