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은 지난달 17일 중국 청두에서 열린 AMWC CHINA 2025에서 '브이올렛 사이언티픽 포럼(V-OLET Scientific forum)'을 열고 중국 및 글로벌 의료진에게 브이올렛의 임상 데이터와 차별점, 시술 사례를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최근 위고비·마운자로 등 GLP-1을 통해 국소 부위를 정교하게 관리하려는 '마이크로 뷰티'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반영구적인 지방파괴와 콜라겐 생성 기전을 갖춘 브이올렛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브이올렛은 2021년 대웅제약이 국내에 출시한 데옥시콜산(DCA) 성분 지방파괴주사제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960명 이상이 참여한 대규모 임상 3상과 시판후조사(PMS) 등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검증됐다.
이번 AMWC CHINA 2025에는 중국 현지 의료진 포함 200여 명의 글로벌 연자와 200여 개 기업이 참여했다. 대웅제약은 포럼 개최와 부스 운영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윤준수 대웅제약 나보타사업본부장은 "이번 AMWC CHINA 2025는 브이올렛이 한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가는 첫 무대였다"며 "브이올렛을 나보타와 함께 대웅제약의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포트폴리오를 이끄는 블록버스터 브랜드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유한양행은 지난 15일 서울시립대학교 미래관에서 한국전문경영인학회와 함께 '제3회 유한 ESG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18일 밝혔다.
유한 ESG 학술상은 ESG경영 분야의 학술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전문경영인학회가 주관하고 유한양행이 후원하는 시상 제도다. 국내외 ESG 관련 이론·정책·실무 분야에서 우수 연구를 발굴·지원하기 위해 2023년 신설됐다.
이번 유한 ESG 학술상에서는 리나 왕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교수, 살사빌라 아이 샤리안다 서울대학교 연구자, 임재현 교수와 박성호 교수의 '온라인 식료 플랫폼과 식품 폐기물: 인도네시아 플랫폼 데이터를 바탕으로 플랫폼 운영 요인 분석'이라는 공동연구가 대상을 차지했다.
최우수상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정지영 연구자와 김상준 교수의 'ESG 제도화에 따른 인식의 구조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담론 비교' 연구가 선정됐다.
이병만 유한양행 부사장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ESG 연구와 실천을 확산하는 이 자리가 매년 더욱 의미 있는 자리로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ESG경영의 학문적 발전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학회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동아제약은 2025 약사 학술 심포지엄 ‘NEW RISE’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의 슬로건 ‘NEW RISE’는 동아제약의 일반의약품(OTC)이 새로운 도약과 혁신을 향해 나아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심포지엄은 서울, 부산, 대전 주요 3개 도시에서 순차적으로 열렸으며, 약사 약 500여명이 참석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선혜 상아약국 약사가 콘드로이틴 1200mg의 임상근거를 바탕으로 한 관절 개선 효과를 소개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오성곤 약국약학연구소 박사가 마그랑비의 주성분 피돌산 마그네슘의 흡수 메커니즘과 SCI급 학술지에 게재된 임상 근거 기반의 특장점을 소개했다.
각 세션 발표 이후에는 동아제약 OTC 제품에 관한 질의응답과 학술 교류가 이어졌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제품 홍보를 넘어 약사와의 학술적 교류를 통해 동아제약 OTC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 자리”라며 “맥스콘드로이틴 및 마그랑비에 대한 현장의 기대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루닛은 글로벌 진단·임상시험 서비스 업계 리딩 기업인 랩콥(Labcorp)과 AI 기반 디지털병리 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양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2025 미국면역항암학회(SITC 2025)’와 ‘2025 미국분자병리학회(AMP 2025)’에서 첫 공동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협력을 공식화했다. 이번 협력은 랩콥의 임상 및 병리학 전문성과 루닛의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종양미세환경 분석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 면역항암제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발굴을 가속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사의 첫 협업 성과는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MET 변이 유형에 따른 종양미세환경 특성을 규명한 연구로, 두 개의 주요 글로벌 학회에서 연이어 발표됐다.
먼저 SITC 2025에서 루닛-랩콥 공동 연구진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MET 엑손 14 결손 환자, MET 증폭 환자, MET 변이가 없는 환자 등 총 371명의 병리 슬라이드를 분석하고, 각 변이 유형에 따른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 효과를 분류했다.
AMP 2025에서도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한 분석을 통해 MET 변이 유형에 따라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종양미세환경이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도 각각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향후 리얼월드 데이터(RWD) 기반 대규모 연구 및 다른 암종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랩콥과 같은 글로벌 리더로부터 인정받은 것은 루닛의 AI 기술이 종양학 분야 실제 임상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며 “AI와 디지털병리의 결합은 연구 단계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실제 치료 관련 의사결정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365mc는 아동복지전문기관 초록우산과 공동으로 주최한 국민 건강 증진과 나눔 문화 확산을 위한 '핏땀런(FIT-땀-RUN)' 달리기대회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18일 밝혔다.
365mc가 기획하고 마련한 이번 대회는 지난 16일 서울 여의도 문화의마당에서 열렸으며, 3000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건강한 달리기와 따뜻한 나눔을 결합한 사회공헌형 기부 러닝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건강한 달리기를 함께하면 365mc가 대신 기부한다'는 콘셉트가 호응을 얻으며, 두 차례에 걸친 참가 신청이 순식간에 매진된 바 있다.
대회 종료 후 참가비는 전액 환급됐다. 365mc는 참가자 수만큼 금액을 동일하게 매칭해 기부금을 마련했으며, 총 7500만원을 초록우산에 전달했다.
김남철 365mc 대표이사는 "핏땀런은 단순한 건강 증진 달리기 대회를 넘어 시민들의 땀방울이 선한 영향력으로 이어진 의미 있는 나눔의 장이었다"며 "365mc는 건강한 변화와 나눔의 가치를 전하는 의료기관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한편, 긍정적인 영향력을 전하는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메디톡스의 계열사 뉴메코가 도미니카공화국 의약품약국총국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 제제 ‘뉴럭스’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도미니카공화국은 중남미 주요 국가 중 하나로 높은 경제성장률과 소득수준 상승에 힘입어 미용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데이터브릿지마켓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도미니카공화국 미용성형기기 시장 규모는 약 132억달러(한화 약 19조원)로 추산되며 오는 2032년까지 연평균 약 9%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한류 콘텐츠 확산으로 K-뷰티 열풍이 불며 한국 보툴리눔 톡신 제제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메디톡스는 2015년 보툴리눔 톡신 ‘메디톡신(수출명 뉴로녹스)’과 2016년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를 출시하며 쌓아온 현지 네트워크와 마케팅 노하우를 활용해 ‘뉴럭스’의 빠른 시장 진입을 달성할 계획이다.
뉴메코 관계자는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갖춘 도미니카공화국 진출로 중남미 시장 입지가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유럽, 아시아에서도 신시장을 지속 개척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