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18.4% 감소"...'대각선횡단보도' 서울 전역 설치 확대

  • 이달 준공 2곳 포함, 올해 총 5곳 설치...지속 확대 예정

당산동아아파트 교차로 대각선 횡단보도 사진서울시
당산동아아파트 교차로 대각선 횡단보도.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교차로에서 모든 방향으로 건널 수 있는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이후 교통사고 건수가 이전보다 18.4%(377건→ 308건) 감소했다고 18일 밝혔다.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충격하는 ‘보행자보호의무위반’ 건수도 50%(34건→ 17건)로 줄어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이후 보행자 안전과 편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는 2012~2023년 서울 시내에 설치된 대각선횡단보도 217개소를 대상으로 설치 전·후 효과를 분석해 교차로 교통사고 건수, 보행자 이동 거리, 차량 통행속도를 비교한 결과다. 

‘대각선횡단보도’는 보행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시설로 알려져 있지만, 서울시 내 설치 사례에 대한 분석이 부재했다. 이에 시는 지난 10년간 현장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정량·객관적 효과를 분석했다.

대각선횡단보도가 설치된 교차로 별로 설치 전·후 평균 교통사고 통계를 비교한 결과, ‘전체 사고건수’가 감소한 가운데 차 대 사람 사고건수는 27.3%(99건→ 72건), 횡단 중 사고건수 25.8%(66건→ 49건) 모두 감소했다. 
 
특히 ‘차 대 사람 교통사고’ 중 우회전 중 보행 교통사고·좌회전 중 보행 교통사고가 각각 35.3%, 44.8%로 크게 감소해, 모든 방향의 보행신호가 켜질 때 차량 진입이 금지되면서 보행자 안전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다. 

보행자 이동 거리에도 변화가 확인됐다. 설치 전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가기 위해 횡단보도를 두 번 건너야 했지만 대각선횡단보도로 한 번에 건널 수 있게 되면서 보행자 이동 거리는 평균 5.6m(32.5m→26.9m, 17.2%) 감소했다.

‘차량 정체’를 줄이기 위해 시가 검토 단계부터 신호운영 최적화·대각선 길이 최소화를 위한 도로 기하구조 변경 등을 시행한 결과, 평균 통행속도 8.8%(-1.6km/h) 소폭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다만 대각선횡단보도 길이가 길수록 상대적으로 평균 통행속도가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각선 길이 별로 보면 대각선 길이 30m 이하인 경우 오후 평균 통행속도가 약 1.7km/h(18.1km/h→ 16.4km/h, 9.4%) 줄었고 대각선 40m를 초과하는 곳은 약 2.5km/h(22.2km/h→19.7km/h, 11.3%) 감소했다.

시는 올해 △송파초교 인근(송파구) △당산동아아파트 교차로(영등포구) △광진교남단사거리(강동구)에 대각선횡단보도 설치를 완료했으며, 이달 말까지 △제각말아파트교차로(은평구) △상봉역 3, 4번 출구 앞(중랑구)에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대각선횡단보도는 단순한 새로운 교통체계 도입이나 시설 개선을 넘어 ‘보행자가 주인’이 되는 교통 문화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시민 안전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보행자 중심 교통체계로 전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